기초유분부터 합성수지까지 전 분야 걸쳐 생산설비 확대
中 의존도 80~90%로 높아 최대 수요처 잃는 건 시간문제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김혜민 기자]중국이 석유화학제품의 자급률을 높여가면서 국내 화학사들의 중국 수출길이 막혀가고 있다. 화학은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우리 기업들의 경쟁력이 높은 편이었다.
하지만 중국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기초유분(에틸렌·프로필렌 등)부터, 단순설비를 통해 이 제품들을 2차 가공해 만드는 합성수지(PTA·PVC 등)까지 자급률을 높이면서 우리 기업들의 중국 수출길이 가로 막힌 것이다. 그 바람에 중국 수출 의존도가 80~90%에 이르던 '메이드인 코리아 화학제품'이 갈 곳을 잃었다. LG화학ㆍ롯데케미칼ㆍ한화케미칼ㆍSK종합화학ㆍ효성 등 주요 화학사들이 사상 최대실적을 내고 있지만 중국 시장을 빼앗기는 것도 시간문제라는 지적이다.
22일 한국석유화학협회 통계에 따르면 폴리에스터와 페트병 재료인 'PTA'(고순도 테레프탈산)의 올해 중국 수출 비중(1~7월 기준)은 4%에 그쳤다. 지난 2012년 82%에서 급락했다. 물량으로 따지면 267만9507t에서 4만1866t으로 줄어든 셈이다. 반면 중국의 PTA 자급률은 2012년 85%에서 지난해 103%로 늘어났다. 2020년에는 107%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중국은 지난 2010년부터 우리나라 PTA 제품을 경계하기 위해 반덤핑 관세를 매겨왔다.
◆ PTA 中자급률 높아지자 수출 비중 4%로 급락
중국 수출길이 막히면서 유럽으로 눈을 돌렸지만 그마저 쉽지 않다. 이달 초 유럽연합(EU)은 국내 기업들이 수출한 PTA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시작했다. 국내 화학사 들이 유럽에 수출한 PTA 물량은 2012년 2만t에서 지난해 81만t으로 증가했다.화학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을 잃게 된 기업들은 비용을 들이며 재고를 떠안고 있을 바에야 싼 값으로라도 팔아 넘기는 것밖에 답이 없다"며 "적정 생산량까지 구조조정을 해야하는데 서로 눈치만 보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제2의 PTA도 속속 나오고 있다. 지난해 플라스틱 원료인 PVC(폴리염화비닐)와 SBRㆍBR(합성고무)도 중국 자급률이 각각 105%, 87%에 달했다. 석유화학산업 구조조정 컨설팅을 맡은 베인앤컴퍼니는 최근 이들 제품의 생산을 감축해야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한국석유화학협회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틸렌ㆍPX 中 수출 비중 90%, 中 자급률 높아지면 직격탄
더 심각한 문제는 올해 국내 화학사들의 고공 실적을 이끈 에틸렌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이다. A석화업계 최고경영자(CEO)는 "에틸렌 말고 호황인 제품이 어디 있느냐"고 할 정도로 에틸렌은 실적 효자 품목이다. 그러나 대중국 수출 비중이 90%에 이른다는 점이 걱정거리다. 1~7월 사이 국내 화학사들이 수출한 전체 에틸렌(40만6456t) 중 89%(36만984t)가 중국으로 수출됐다.
2014년 상반기까지 이어졌던 고유가 시절, 석탄 매장량이 풍부한 중국은 석탄를 원료로 한 에틸렌 생산설비 프로젝트를 대거 준비했었다. 그러나 초저유가 시대로 접어들며 석탄의 비용 효율성이 떨어지자 중국의 설비 투자가 지연ㆍ중단됐다. 이로인해 에틸렌의 중국 자급률은 지난해 기준 63% 정도에 그쳤다. 중국도 점점 생산설비를 늘려 2020년이 되면 76%까지 에틸렌 자급률이 올라갈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화학업계 관계자는 "주력 제품의 중국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중국 시장이 흔들리면 직격탄을 입게 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또다른 실적 견인 품목인 파라자일렌(PX)도 마찬가지다. 이 제품 역시 중국수출 비중이 올해 1~7월 사이 91%(368만9318t 중 336만9487t)에 달했다. 중국 내 자급률은 지난해 58%로, 2020년까지 73%까지 올라갈 것이라고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글로벌 수요둔화, 유가상승 움직임도 리스크
이미 전문가들은 2014년부터 시작된 석유화학 호경기가 내년부터 하강하고 2019년까지 조정기에 들어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LG경제연구원은 '석유화학 경기, 낙관적 전망을 경계하는 이유'라는 보고서를 통해 수요둔화를 가장 큰 리스크로 꼽았다. 세계 경제성장률이 앞으로 5년간 3.0% 수준에 그친다면, 에틸렌 가동률은 올해 87%, 내년 85%로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가상승 움직임도 달갑지 않다. 국제유가는 최근 들어 서서히 상승하고 있다. 배럴당 30~40달러 수준에서 지난 6월 50달러까지 올랐다. 7월 이후 반짝 하락세를 탔지만 올해 하반기에는 60~70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유가가 오르면 원료인 나프타 가격도 상승한다. 수요둔화와 유가상승이 겹치면 화학사들은 실적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임지수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석유화학산업 경기에서 리스크 요인들의 영향력이 결코 작지 않을 것"이라며 "기업은 대형 설비투자에 보다 신중을 기하면서 재무건전성을 관리하고 제품 품질 고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