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된소리 강한 외계어 남발로 목소리 건강에 적신호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낄끼빠빠!" "빼빡캔트!"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 길이 없습니다. 사전에도 없고 실생활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이른바 '외계어'에 해당됩니다.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이 같은 외계어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습니다. 문제는 외계어 발음이 생활화되면 자칫 목소리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입니다. 음성 질환이나 발음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빻았다(못생겼다)' '낄끼빠빠(낄 때 끼고 빠질 때 빠져라)', '빼빡캔트(빼도박도+못한다의 의미인 can't)' 등 발음하기도 어렵습니다. 이 같은 유행어는 10~20대가 즐겨 썼는데 최근 일상생활에서 스마트폰 등을 통한 디지털미디어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30~40대 이상 혹은 어린 아이까지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음에서도 나타나듯이 이 같은 외계어의 특징은 강한 된소리에 있습니다. 자연스럽지 못한 억지 발음이 많습니다. 목소리 건강에 악영향 끼칠 수 있습니다. 국적불명의 외계어는 한국인의 기존 발음체계에는 없던 된소리를 사용하거나 억지 발음으로 이뤄져 지속적으로 사용하다가는 음성질환이나 발음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음성언어치료전문 프라나이비인후과 안철민 원장은 "최근 많이 사용하는 외계어처럼 부자연스러운 된소리 발음은 성대와 목 주변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시킨다"며 "이런 긴장이 지속되면 음성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계어를 직접 말로 표현하다 보면 성대에 무리를 주거나 좋지 않은 발음 습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빻았다'나 '빡친다'와 같은 된소리 발음은 된소리를 시작하는 순간 성대의 발성 압력을 증가돼 성대 점막에 충격이 전해집니다.
또 '헐~'이나 '대~박' 등과 같은 표현도 과도한 호흡을 순간적으로 발성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습관적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성대 근육을 긴장시키고 건조하게 만들어 성대 결절이나 성대폴립과 같은 성대질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맞춤법에 맞지 않는 단어도 문제를 일으킵니다. '아니애오', '그래쪄'와 같은 발음은 당장 음성질환을 일으키는 것은 아닌데 지속적으로 반복할 경우 성대와 목 주변 근육을 수축하게 만들어 목소리를 변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발음은 습관화되기 때문에 잘못된 발음이 그대로 굳어질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외계어 표현들을 자주 사용하면 일상 대화를 할 때 자신도 모르게 정확한 단어나 표현이 입 밖으로 나오지 않고 머뭇거리게 되는 일종의 말더듬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이 같은 경우가 반복되면 결국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에 방해를 받아 사회생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안철민 원장은 "건강한 목소리를 유지하려면 평소 말하는 습관뿐 아니라 목 관리도 중요하다"며 "물을 자주 마셔 성대를 촉촉하게 유지하고 목 주변을 손으로 쓸어주는 목 근육 마사지도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습니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