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혜·메피아 논란 중심 유진메트로컴의 사업 수주에 결정적 역할...사업 본격화 직전 지분 팔고 철수...단독 입찰시 이명박 전 대통령 측근들 개입...일각선 '제2의 다스' 의혹 제기돼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2003년 10월 설립 신고를 한 신생 광고회사 유진메트로컴은 실적이 하나도 없었음에도 이명박 전 시장 시절인 2004년과 2006년 서울시가 실시한 서울메트로(1~4호선) 24개 주요 역사 내 스크린도어 민자사업을 따냈다. 당시 삼성, LG, 현대 등 내로라하는 기업들이 모두 수익성을 확신해 입찰에 뛰어들었지만, 어쩐 일인지 유진메트로컴만 단독 입찰했기 때문이었다.
유진메트로컴은 이후 강남ㆍ교대ㆍ을지로입구ㆍ삼성 등 승객들이 몰리는 '알짜배기'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ㆍ유지보수 해주는 대신 막대한 광고 수익을 16년7개월~22년간 독차지하게 됐다. 유진메트로컴은 2014년 말 현재 9년간 2559억원의 매출을 올리면서 최대 연간 30~40억원대의 순이익을 남겼다. 대주주들도 74%의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 정흥식씨가 2004년부터 2015년까지 127억원. 2대주주인 신아무개씨는 약 11억원의 배당금을 각각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막대한 성과의 배경엔 포스코그룹 계열사 포스콘이 있었다. 이 전 시장의 고향인 포항에 본사를 둔 포스코 그룹 내부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담 자회사로, 나중에 포스데이터와 합병해 포스코ICT로 변신했다.
포스콘은 당시 신생 광고기업에 불과한 유진메트로컴에 5% 지분을 출자했고, 컨소시엄을 맺어 스크린도어 사업을 함께 수주했다. 포스콘의 투자와 컨소시엄 합류는 변변한 실적이 한 건도 없었던 신생 유진메트로컴의 신용도ㆍ기술력 점수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에 한국교직원공제회(10.5%), 교보생명보험(9.5%) 등 굵직굵직한 금융투자자들이 주주로 합류했고, 두 투자 기관은 사업자금 조달을 통해 배당수익과 함께 막대한 이자 수익을 거두고 있다.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유진메트로컴은 사업 조달 금액(963억원)의 3.5%만 자체 부담했고 나머지 928억원은 두 투자 기관들로부터 최대 15%의 고금리 자금을 빌려 조달했다. 이로 인해 유진메트로컴이 지출한 이자는 2014년 말까지 무려 715억원에 달한다. 원금은 318억원(34.3%)만 상환해 현재도 엄청난 이자를 지출하고 있다.
특히 특이한 것은 포스콘이 사업이 본격화되기도 전인 2006년 돌연 이 같은 '대박 사업'에서 지분을 정흥식씨에게 팔고 철수하고 말았다는 점이다. 다른 주주들이 막대한 배당과 사업을 통한 이윤 창출로 수익을 올리고 있는 것과 대조적 행보다. 실시 협약에 따라 5% 이상의 지분율이 변경될 경우 사전 승인을, 5% 미만이라도 사전 통보를 해야 하지만 지키지 않았다.
국회 변재일 의원실 김승태 비서관은 "기술투자자들이 사업 낙찰에 성공한 후 납품 등을 마치면 지분을 팔고 떠나는 경우가 많긴 하다"며 "하지만 이 경우 신생기업인 유진메트로컴이 어떻게 포스코 계열의 대기업인 포스콘과 연결돼 거대한 수익 사업을 따낼 수 있었는 지 경위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ICT 관계자는 "당시 출자금 회수는 사전협의가 돼 있던 사항"이라며 "포스콘의 본업은 시스템 구축이었기 때문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끝난 후 투자한 지분을 회수한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지분 변동을 서울메트로에 통보하는 것은 유진메트로컴이 해야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유진메트로컴의 현 대주주인 정씨는 현대증권 지점장 출신이고, 당시 계약 상대방이었던 서울메트로의 강경호 사장은 현대중공업 사장 출신으로 모두 이 전 시장과 인연이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강 사장은 현재도 이 전 대통령의 차명 소유 논란이 일고 있는 ㈜다스의 사장으로 재직 중이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