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혜숙 기자] 지방자치단체마다 궁핍한 살림살이에 미래 먹거리산업에 역점을 두다보니 단연 '경제'가 화두다. 부단체장을 정무부시장 직제에서 '경제부시장'으로 바꾼 것도 이 때문이다. 현재 17개 시·도 중 8곳에서 경제부시장을 두고 있다.
정무부시장이 정치권이나 지역사회 인물 위주로 발탁됐다면 경제부시장은 중앙정부 고위직, 그 중에서도 기획재정부나 국토교통부부 출신들이 주를 이룬다. 국비도 많이 확보해야 하고, 대규모 예산이 수반되는 건설·교통·도시개발 등의 사업 추진시 관련부처에 힘을 써 줄 수 있는 인맥이 필요한 이유에서다.
인천시도 2014년 유정복 시장이 취임하면서 경제부시장직제를 도입했다. 유 시장으로서는 13조원에 이르는 부채해결과 투자유치를 통해 재정 건전화를 이뤄내는 게 급선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경제부시장에게 막강한 권한도 줬다. 신설한 재정기획관과 투자유치단을 비롯해 경제산업국·건설교통국·해양항공국 소관 업무를 관장하고,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인천도시공사의 투자유치 업무까지 총괄하도록 했다.
이로 인해 행정부시장의 권한과 역할을 위축시킨다는 비판여론도 있었지만 그만큼 인천시 재정은 발 등에 떨어진 불이었다. 시민단체들이 지역실정을 잘 모르는 외부인사 영입에 반대했을 때도 유 시장은 "지역연고가 없더라도 능력있는 사람을 쓰겠다"며 중앙정부 출신의 경제전문가 영입에 승부수를 던졌다.
그런 유 시장이 후반기 임기 2년여를 남겨두고 세번 째 경제부시장을 뽑아야하는 처지에 놓였다. 기획재정부 차관 출신의 초대 배국환 부시장은 지역사회와 소통 부재가 문제가 돼 11개월만에 스스로 물러났고, 국토해양부 출신의 홍순만 부시장은 코레일 사장에 응모하기 위해 8개월만에 사임했다.
두명의 경제부시장 하차로 인해 유 시장의 인사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올수밖에 없다. 지역연고를 무시하고 발탁한 인물은 이것에 발목이 잡혔고, 대학동문인 후임자는 '인맥인사'의 한계를 드러냈다. 측근을 등용하더라도 손발만 잘 맞는다면야 우려는 기대로 바뀌겠지만, 지금으로선 경제부시장 인사는 실패다.
그렇다고 이제와서 경제부시장 직제가 옳으냐 그르냐를 따질 것은 아니다. 정무기능이 약화됐다면 이를 보완하면 될 일이고, 경제부시장에게 지나친 권한이 주어졌다면 업무분장을 통해 개선하면 될 일이다. 문제는 직제가 아니고 어떠한 인물을 쓰는냐는 것이다.
세번째 경제부시장에 모두 3명이 응모했다고 한다. 이미 누가 내정됐다느니, 회전문 인사니 하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어차피 인사권자가 발탁하는 인물인데 '측근'을 배제할 수 없다지만 지난 두번의 실패를 거울삼아 신중에 또 신중을 거듭해 최적의 인물을 뽑아야 할 것이다. 적어도 2인자 자리에 걸맞는 책무를 완수할 수 있는 그런 인물말이다. 민선6기 후반기 인천시정이 부단체장 인사 잡음으로 또다시 휘청거리지 않길 기대한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