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달 말 韓日 반가사유상 한자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6초

국립중앙박물관 5월 24일부터 3주간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전

내달 말 韓日 반가사유상 한자리 (왼쪽)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 삼국시대, 6세기, 금동, 높이 82cm (오른쪽) 국보 주구사 반가사유상, 일본 아스카시대, 7세기, 목제(녹나무), 높이 168cm
AD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한일 양국 고대 불교조각을 대표하는 반가사유상이 처음으로 한 자리에 모인다.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다음달 24일부터 6월 12일까지 '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 전이 3주간 열린다. 이곳에서 우리나라의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과 일본의 국보 주구사(中宮寺) 소장 목조반가사유상을 만날 수 있다.


반가사유상은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얹고 손가락을 뺨에 댄 채 생각에 잠긴 보살상이다. 출가 전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며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에서 비롯됐다.

불교가 탄생한 인도에서 등장한 반가사유상은 중앙아시아,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와 일본까지 전래됐다. 삼국시대 반가사유상은 예술적 완성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독존으로도 제작돼 미륵신앙(먼 미래에 중생을 구제할 미륵보살에 대한 신앙)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중요한 예배의 대상이 됐다.


삼국시대 6세기 후반에 제작된 우리나라 국보 78호상은 입가에 엷은 미소를 띤 채 두 눈을 지그시 감은 모습으로 사유에 든 보살의 무한한 평정심과 숭고한 아름다움을 전해준다. 화려한 보관과 장신구, 몸을 덮은 천의(天衣) 자락은 범접할 수 없는 존엄한 보살의 위엄을 드러낸다. 화려한 장신구나 유려한 천의자락을 일정한 두께로 주조한 금동불상으로, 당대 최고의 뛰어난 조형 감각과 첨단 주조 기술이 조화를 이룬것으로 평가된다. 국보 78호상은 1912년에 그 존재가 세상에 알려진 뒤, 1916년에 박물관에 소장되었으나, 봉안되었던 장소나 출토지는 명확하지 않다.


일본 주구사 반가사유상은 7세기 후반 아스카시대에 제작된 목조상이다. 마치 두 개의 상투를 튼 듯한 머리 모양에, 윤곽선이 없이 두툼한 눈과 입가에는 살짝 미소를 머금어 명상에 잠긴 모습이다. 상반신은 아무것도 걸치지 않은 반면, 높고 큰 대좌 위로 치맛자락이 겹겹이 흘러내린 모습은 삼국시대 반가사유상의 영향을 연상시킨다. 반면 거대해진 둥근 의자와, 상체를 세워 고개를 들고 있는 점은 일본만의 독창적인 조형 감각을 보여준다. 동시대 일본 목조 불상의 주된 재료인 녹나무로 된 11개의 목조 부재를 조합해 제작하였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 불상이 일본을 벗어나 다른 나라에서 전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도쿄국립박물관과 공동으로 기획된 이번 전시는 서울 전시가 끝난 뒤 '미소의 부처님, 2구의 반가사유상'이라는 제목으로 6월 21일부터 7월 10일까지 3주간 일본 도쿄국립박물관에서도 개최될 예정이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