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부업서 기꺾인 '오까네'..."일본계 자금의 공습 식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25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규제 강화, 대부업 최고금리 인하 확실해져...수익성 악화 우려
-부정 여론, 저축銀 곱지 않은 시선에 톱 배우 광고 모델 계약해지도
-매물 실종, 2008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눈에 띄는 매물 없어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 일본계 대부업체 콜렉트는 지난해 한국 시장에서 철수했다. 콜렉트는 2004년 국내 최초 대부업계 부실채권(NPL) 전문 관리회사로 설립돼 영업을 해왔으나 결국 10년 만에 문을 닫았다. 콜렉트의 대주주인 일본 법인 TNF는 콜렉트 지분 100%를 국내에서 영업 중인 대부업체 머니라이프에 매각했다.

대부업과 저축은행 시장에 앞다퉈 진출하던 일본계 자금의 국내 공세가 최근 주춤하다. 신규 영업을 등록하는 일본 법인도 거의 없는데다 사업을 철수하는 곳까지 생겨나고 있다. 업계는 이 같은 움직임의 원인으로 규제 강화, 부정적 여론, 매물 실종 등을 꼽았다. 26일 대부업계 관계자는 "대부업에 관한 여러 규제가 일본계 자금의 국내 진출을 가로막고 있다"며 "대부업 금리 인하가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연 34.9%인 대부업법 최고금리는 일몰 기한을 두달여 앞두고 인하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다만 국회에서 의견이 엇갈린다. 여당은 연 29.9%, 야당은 연 25%까지 내리자고 주장하고 있다. 어느 쪽이든 수익성이 악화될 수밖에 없다는 게 대부업계의 불만이다.


대부업계에 일본계 자금이 들어온 것은 2002년 대부업법이 제정될 무렵이다. 당시 일본 대부업 시장은 이미 포화상태로 신규 시장 개척을 위해 일본 영세 대부업체들이 국내에 진출한 것이 시작이었다. A&O그룹(러시앤캐시 전신)이 1998년 문을 열었고 2002년 산와대부가 설립됐다. 대부업계 관계자는 "대부업은 리스크가 큰 만큼 금리가 높을 수밖에 없는데 정부가 지나치게 공공의 이익을 요구하고 있어 사업하기 어렵다는 것이 국내에 진출한 일본 대부업 관계자들의 하소연"이라고 지적했다.

저축은행 업계도 일본계 자금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의식하고 있다. 일본계 자금이 국내 저축은행 시장에 뛰어든 것은 2008년 저축은행 사태를 겪으면서 매물로 나왔던 저축은행들을 인수하면서다. 현재는 79개 저축은행 가운데 OSB저축은행(옛 푸른2저축은행), JT친애저축은행(옛 미래저축은행), SBI저축은행(옛 현대스위스저축은행) 3곳이 일본계로 분류된다. 2013년 SBI저축은행이 현대스위스저축 은행을 매각한 이후 2년 간 일본계 자금이 국내 저축은행 업계에 들어온 적은 없는데도 저축은행 업계는 유달리 뭇매를 맞고 있다. 최근 JT친애저축은행 모델이었던 배우 고소영씨가 계약을 해지한 것도 일본계 자금을 바라보는 악화된 여론 탓이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 사태가 터지고 일본계 자금이 들어오지 않았다면 상당수의 저축은행은 파산할 수밖에 없었다"며 "그런 점에서 일본계 자금의 순기능도 인정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일본계 자금의 국내 진출이 주춤한 또 다른 이유로 2008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와 달리 지금은 이렇다 할 매물이 없다는 점을 꼽았다. 또한 우리의 기준금리가 1.5%로 낮아지면서 금리 차이에 따른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는 점도 원인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