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 "국정교과서, 국민 알기 쉽게 '올바른 역사교과서'로 명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7초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역사 교과서의 국정화를 추진 중인 새누리당은 국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국정교과서' 대신 '올바른 역사교과서'라는 용어를 사용하겠다고 12일 밝혔다.


김정훈 새누리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국정'이라는 용어는 법정 용어로서 어감이 딱딱하다"며 "법정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국민들이 알기 쉽게 저희들은 국민 통합을 위한 올바른 역사교과서로 명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정책위의장은 "역사 교과서 내용을 살펴보면 참담한 지경이다. 검정 전환 이후 북한 인물의 등장 횟수가 매우 늘었다"며 "국정에서는 김일성에 관한 언급이 4회이지만, 검정에서는 10회가 서술돼 검정에서 북한 관련 내용 비중이 증가했다"고 전했다.


또한 그는 6·25 전쟁의 책임을 남북한 모두에게 있는 것처럼 표현하고, 북한군 양민학살 기술이 안 되는 등 조작된 역사적 내용이 교과서 곳곳에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북한이 가장 원하는 것은 친북 반국가적 사상으로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흔들고 국민의 분열을 일으키는 것"이라며 "좌편향 역사 교과서는 친북 사상을 퍼트리는 숙주"라고 꼬집었다.


김 정책위의장은 야당의 반발을 비판하며 "독재, 영구집권, 쿠데타라는 극단적이고 반시대적 단어들까지 동원하며 정치 선동에 나서는 것은 이번 기회를 총선에 활용하려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을 갖게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역사 교과서는 객관적 사실에 근거해 공정하게 기술돼야 한다"며 "좌편향 역사 교과서가 우리 아이들의 미래와 한반도 평화를 흔드는 것을 국회가 좌시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