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숲 가꾸기, 지구 온난화 해소에 일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대전) 정일웅 기자] 숲 가꾸기 사업이 이뤄진 산림지역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이 그렇지 않은 산림지역보다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업은 인공 조림지 또는 천연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숲 가꾸기 운동의 필요·중요성을 강조했다.

과학원이 지난 2009년부터 최근까지 우리나라 고유 수종인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나무와 토양의 탄소 저장량을 모니터링 한 결과 숲 가꾸기가 이뤄진 산림은 그렇지 않은 산림보다 대기 중에 저장된 이산화탄소가 10%가량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또 전자의 경우 소나무림의 탄소 저장량이 상대적으로 헥타르(ha) 당 28톤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토대로 과학원은 숲 가꾸기가 된 산림에 광선과 수분 유입량이 높아져 숲의 건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토양 내 미생물도 많아져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저장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반면 방치된 산림은 햇빛과 수분 등의 부족으로 숲이 쇠약해지고 토양도 본래의 기능을 잃기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 소나무림 중 숲 가꾸기가 필요한 면적은 132만㏊로 이들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숲 관리가 이뤄진다면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산림에 저장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림생산기술 연구소 이상태 박사는 “숲 가꾸기를 통해 건강해진 산림은 우수 목재를 생산할 뿐 아니라 기후변화의 원인이 되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흡수·저장 능력을 높인다”며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서라도 숲 가꾸기의 지속적인 활성화가 중요하다”고 했다.


현재 우리나라 소나무림 중 숲 가꾸기가 필요한 면적은 약 132만ha로, 앞으로 이들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숲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산림에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