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기업들은 청년 고용을 막는 최대 원인으로 청년들의 눈높이와 경기침체에 따른 일자리 부족을 꼽았다.
26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청년 고용 제약요인 인식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은 '청년 눈높이'(8.12점), '경기 침체'(7.85), '정년 60세 의무화'(7.69),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6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49) 등 순으로 청년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높게 평가했다.
반면 청년 구직자는 '기업의 노력 부족'(7.72),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70), '경기 침체'(7.67),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38),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08) 등 순으로 청년고용 제약 요인을 꼽아 기업과 상당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근로자는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75) 문제를 1순위 요인으로 지적했으며 '청년 눈높이'(7.74), '기업의 노력 부족'(7.45), '경기 침체'(7.33), '정부 및 정치권 정책 실패'(7.28) 순으로 응답했다.
학계는 '산업구조 변화'(7.39)와 '경기 침체'(7.34), '기득권 중심 노동운동'(7.3), '학력 과잉 및 학교 교육'(7.28), '정년 60세 의무화'(7.2) 등 순으로 지적했다.
특별한 조치가 없으면 청년실업 문제가 어떻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장단기적으로 악화할 것이라는 답변이 응답주체 모두 70% 이상이었다.
청년 실업을 해결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할 주체로는 정부(50.3%)와 기업(27.8%)이 꼽혔다. 특히 청년 구직자와 근로자는 정부의 지원책 마련과 함께 기업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다.
시급히 추진돼야 할 과제로 기업과 학계 전문가가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성과와 직무 기반 임금체계 도입을 선정한 것과 달리 청년 구직자와 근로자는 기업의 투자 및 채용 확대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