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기질개선포럼]전기차 보급 컨트롤타워·통합지원시스템 만들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서울시-아시아경제신문-맑은하늘만들기시민운동본부, 15일 2015 서울 대기질 개선 포럼 개최

[대기질개선포럼]전기차 보급 컨트롤타워·통합지원시스템 만들어야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전기자동차 보급과 관련된 컨트롤타워 구축, 단순 보조금을 넘어선 통합적 지원시스템. 교통분야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친환경차 확대 전략은 이 두가지로 요약된다. 친환경차로는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수소 연료전지차 등이 대표적이다. 이중 가장 완전한 무공해차이자 판매율이 높아지고 있는 전기차 공급을 크게 늘려 청정 서울 하늘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체계적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얘기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2015 서울 대기질 개선포럼'에서 현재까지 전국에 보급된 전기자동차(BEV)는 모두 3400여대 수준이라고 밝혔다. 세계적 전기차 메이커 테슬라가 제작한 차량이 올 상반기 중 2만대 이상 팔려나가며 주가가 치솟고 있는 현실에 비하면 터무니없이 적은 물량이다. 정부는 전기차 보급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내년까지 보급 목표는 1만대다. 서울시도 전기차 보급에 공격적이다.


하지만 여건은 녹록지 않다. 자동차 메이커의 기술수준과는 별도로 정책적 지원 미흡과 이용상 불편 등으로 인해 전기차 수요를 끌어올릴 만한 마땅한 비책이 없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이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선 먼저 통합적 컨트롤타워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그는 "중국 등 해외의 전기차 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적극적이면서도 일관성 있게 보급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며 "서울 등 지자체 차원에서 성공적 시범모델을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통합적 지원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처럼 단순히 차량 가격 중 일부를 보조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적지 않다는 점에서다.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전기차를 구매ㆍ이용할 수 있도록 유인책을 마련하자는 것이다.


김 교수는 "연간 한 차례 공모를 통해 구입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수시로 구입할 수 있게 하고 충전소를 대폭 확장해 인프라를 갖춰야만 한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핵심은 전기차 보유자에게 강력한 운행상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차 관련산업 육성도 주요 과제로 꼽았다. 김 교수는 "전기차 정책을 대기업 위주에서 중소기업과 균형을 갖출 수 있게 전환해야 한다"며 "중소기업의 먹거리인 중ㆍ저속 전기차 등 새 영역에 대한 연구개발, 상용모델 출시를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