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올 하반기 업종별 기상도가 발표됐다. 전자·기계·건설은 햇볕이 드는 '구름조금'으로 전망되지만, 자동차·조선·철강 등은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흐림'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10개 업종별 단체와 공동으로 2015년 하반기 산업기상도를 조사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따르면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반도체 수출이 크게 느는 전자 및 IT 업종, 미국경제 호조로 훈풍이 불고 있는 기계업종, 부동산 부양정책 이후 건설수요가 늘어 지난 5월 ‘철근품귀’까지 빚어냈던 건설업종 등에는 햇볕이 드는 ‘구름조금’으로 전망됐다.
특히 전자 및 IT분야는 하반기 수출 기대에 힘입어 상반기 ‘흐림’에서 ‘구름조금’으로 한계단 상승했다.
세계적으로 사물인터넷, 웨어러블기기 등 첨단제품이 쏟아지면서 국내 반도체가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갤럭시S6, G4 등 신형스마트폰의 해외수출도 본격화될 예정이다. 수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상황에도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지난 5월 27%(전년동월비)까지 상승한 바 있다.
기계업종 역시 미국의 자동차, 항공, 에너지산업의 투자확대로 ‘구름조금’으로 예상됐다.
최근 중국수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수출은 1~5월까지 11.3% 증가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그동안 기계류 최대수출처였던 중국경제의 성장세 둔화, 중국 기계업체들의 약진 등은 하반기 부진요인이다.
건설업종은 지난해부터 이어온 부동산 부양책으로 이번 하반기도 해가 뜰 것이란 전망이다.
민간부문의 건축물 착공신고가 지난해 말부터 계속 증가추세를 유지하면서 올해 국내건설 연간수주액은 지난해에 비해 12% 증가한 12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저유가로 중동지역 공사발주 축소가 지속돼 연간 해외건설 수주액은 지난해보다 25%감소된 500억달러선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엔저로 일본차 업체와 힘겨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자동차는 ‘흐림’으로 전망됐다.
미국시장에서 베스트셀러로 꼽히던 일본 중형세단 ‘캠리’는 현대차 ‘쏘나타’보다 고가였지만 지금은 두 차종 모두 같은 가격대(2만2000달러~3만달러)에 팔려나가고 있다. 이외에도 노동계 총파업, 개별노사간 임금협상 난항 등으로 생산에 차질을 빚을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자동차업종의 악재가 될 수 있지만 신차출시(아반떼, K5, 스포티지 등), 미국시장 공격적 마케팅 강화 등은 수출전망을 밝게하고 있다.
그리스 위기의 여파가 밀려든 조선업종도 ‘흐림’으로 전망됐다.
저유가로 해양플랜트 사업의 실적부진 우려가 지속되는데다 주요고객 유럽선사들이 그리스 위기에 더욱 움츠려들 수 있다는 판단이다. 기자재업체들은 선박건조 감소 전망과 더불어 엔저로 인한 단가인하압박까지 겹쳐 사정이 더 어려운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상선수주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는 점은 호재로 작용한다.
자동차, 조선 등 전방산업 부진으로 철강업종 역시 ‘흐림’으로 분석됐다.
철강산업은 중국의 ‘저가철강 밀어내기’(국내산 철강의 약 80% 가격수준)에 국내시장이 크게 잠식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통상마찰심화에 따라 수출환경도 좋지 못하다. 현재 세계 14개국에서 61건의 조사가 진행될 정도다. 하반기에는 그나마 햇볕이 드는 건설업종에 국내산 철강이 팔려나가길 기대하고 있다.
정유·유화업종도 ‘흐림’으로 예보됐다.
중국, 인도 등에서 설비경쟁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어 전망이 밝지 못한 상황이다. 정유업계는 중국의 석유화학 자급체제가 약 80%에 이르고 TPA(98%), PVC(101%)는 이미 100%에 달해 중국 제품이 국내 시장으로 유입될 가능성도 있다.
중국섬유의 저가공세로 한계상황에 밀린 섬유·의류업종도 ‘흐림’으로 예보됐다.
가격경쟁력을 맞추기 위해 일부 면방업체들은 국내가동을 중단하고 해외생산으로 발길을 돌리는가 하면 해외진출 의류업체도 현지에서 부분품을 조달하는 상황이다. 우위를 점하고 있던 탄소섬유 등 고부가가치 제품에서도 중국이 무서운 기세로 따라오고 있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한중 FTA로 중국시장 진출확대, 원료가격 안정 등으로 수출 감소폭은 상반기 ?9.6%에서 -2.9%까지 진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수봉 대한상의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그리스 위기의 전이가능성과 함께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의 성장세 둔화가 현실화돼 국내경기의 회복세도 주춤거리고 있다"며 "정부는 경제활성화 정책에 더욱 강도를 높이고, 경제계도 계획된 투자와 고용을 예정대로 추진하는 등 모든 경제주체가 경제 살리기에 뜻을 모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