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6월 22일]아시아경제 뉴스브리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6월 22일 월요일 주요경제지 1면 기사


*매경
韓·日정상, 新50년 미래비전 선언하라
여름철 전기료 인하
<사진>서로 손내미는 韓日
朴·아베, 오늘 양국정부 행사 교차참석
새법무장관에 호남출신 김현웅
한국판 '서전 제너럴' 필요

*한경
제값 안주는 사회…'부실 한국炳' 키웠다
오늘 韓·日 수교 50돌 행사 朴대통령-아베 교차 참석
법무장관 '기수 파괴'…김현웅 내정
올 여름 전기요금 14% 싸진다
<사진>철통경계
연금저축 수익률 주식형 펀드 年 6% 1위
中企 55% "최저임금 오르면 고용 축소"


*서경
"통신·유통사 인터넷銀 진출 적극 돕겠다"
中 IT엔 안방 열고…'만리장성 벽'에 갇힌 한국IT
<사진>손잡은 한·일 외교장관
"車시장 위급 상황…특단책 필요"
한·일 정상, 오늘 수교 50돌 행사 교차 참석
법무장관 김현웅 내정

*머니
300억 헛돈 쓴 한수원 계약 졸속심사 의혹도
獨노조 "회사 오래 다녔다고 월급 더주지 마라"
메르스 확진자 4명중 1명 완치
<사진>삼성·英국립 박물관 '공동 프로젝트'
가정용 전기요금 7~9월 한시인하


*파이낸셜
4대강 농업용수 활용 3년째 방치한 정부
<사진>마스크 없이 나들이…서서히 평온 되찾은 시민들
새 법무장관 '호남출신' 김현웅 내정
朴대통령-아베총리 교차참석
메르스 조심스러운 종식 논의


◆주요이슈


* 朴대통령-아베 총리, 22일 한일 국교정상화 리셉션 교차 참석
- 박근혜 대통령은 22일 저녁 일본 정부 주최로 서울에서 개최되는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할 것이라고 청와대가 21일 밝혀. 한·일 양국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리셉션을 상대국 수도에서 22일 각각 개최키로 했으며, 도쿄에서 개최되는 한국 정부 주최 기념 리셉션에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참석할 예정.


* 김현웅 법무부 장관 내정자 "법과 원칙 지켜내겠다"
- 김현웅(56) 법무부 장관 내정자는 21일 "법과 원칙을 지켜내겠다"며 "사회통합을 이루는데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말해. 김 내정자는 이날 서울고등검찰 14층 대회의실에서 내정소감을 밝히며 이 같이 말해. 앞서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박근혜 대통령이 이날 황교안 신임 국무총리의 제청을 받아 법무부장관 후보자에 김 서울고검장을 법무부 장관으로 내정했다고 밝혀.


* 격리해제 긴급생계지원 1개월 연장 검토
- 정부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발생 위험이 있어 격리됐다 해제된 사람들 중 생활이 어려운 가구에 대해 추가로 긴급생계지원을 하는 방안을 검토 중.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정부세종청사 정례 브리핑에서 "격리해제 후에도 생업이 어려운 가구에 대해 상황에 따라 재산, 소득 등을 고려해 긴급생계지원을 1개월 연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정부는 앞서 메르스 관련 격리로 소득활동을 못해 생계가 곤란한 가구에 1개월분 긴급생계지원을 한다고 발표한 바 있음.


* 새서울그룹, 서울 시내면세점 사업 참여
- 유통레저기업인 새서울그룹 계열사 새서울글로벌이 중소기업컨소시엄인 '서울면세점'의 핵심주주 자격으로 면세점 사업에 신규 참여한다고 21일 밝혀. 서울면세점은 청주공항과 인천공항 면세점을 운영하는 시티플러스가 주관사. 새서울글로벌은 이번 시내면세점 사업 참여를 계기로 면세여행상품도 개발할 계획.


◆눈에 띈 기사


* [르포]알면 '27만원' 모르면 '0원'…단통법도 못잡은 고질병
- 단말기유통법 시행 9개월차에 접어들면서 전문가들은 '이용자 차별 해소'라는 1차 목표를 달성했다는 데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지만 정보에 어두운 소비자들을 '호갱님(호구고객)'으로 만드는 일부 판매점의 행태는 여전한 현장 분위기를 전달해 줬으며 신고제도조차 효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해준 기사.


* [메르스 사태]요즘 '죽을맛 직업'은 의료진
-국내 의료계 종사자의 중동호흡기증후군(MERSㆍ메르스) 확진환자가 잇따르면서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한국 의료 체계에 흠집이 생긴 가운데 감염병 적기 대응을 위한 의료기기 및 의료인 보호장구 부족, 안전교육 미흡 등 가시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간병인, 환자 이송인력 등 간접 고용형태로 근무하고 있는 의료계 종사자에 대한 처우가 야기한 측면이 적지 않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도한 기사.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