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고리 1호기가 폐로하기로 결정되면서 후속 절차에 대해 관심이 모아진다. 국내에서 원전을 해체해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하나에서부터 열까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2일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2차 에너지위원회에서 고리 원전 1호기 영구정지(폐로)를 권고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윤상직 산업부 장관은 이날 회의 직후 "원전 산업의 중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영구 정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한수원에 그렇게 권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조만간 산업부는 에너지위원회의 권고안을 원전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에 전달, 한수원은 16일께 열릴 예정인 이사회에서 계속운전 신청여부를 최종 결정할 예정이다.
고리1호기 해체에 최소 15년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국내 해체역량이 선진 해체기술국 대비 70% 수준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현재 해체관련 38개 기술 중 미확보된 21개를 미래창조과학부를 중심으로 기술개발 추진중이다.
우선 핵연료 냉각과 해체 계획 수립과 준비에 5년 이상이 필요할 전망이다. 2017년 가동을 중지하면 이듬해 연료를 빼내고 냉각수를 배수, 격리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 이후에도 2022년까지 안전관리를 통해 냉각 등을 실시하게 된다.
이에 원자로 등 주요 설비에 대해 제염작업과 해체에 약 6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2029년부터 2030년까지 고리 1호기 부지에 대해 복원 작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아울러 이날 에너지위원회는 원전 해체산업 육성대책과 사용후핵연료 관리대책을 조속히 제시해 원전의 '건설-운영-해체-폐기물 관리'에 걸친 전주기적 원전 산업체계를 완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가동중인 23기의 원전 중에서 고리1호기와 월성1, 2, 3, 4호기의 설계수명은 30년, 나머지 원전은 40년이며 신고리 2호기 이후는 60년이다.
지난 2월 계속운전 허가를 받은 월성 1호기를 제외하면 오는 2023년 고리 2호기를 시작으로 고리 3호기(2024년), 4호기(2025년), 한빛 1호기(2025년), 한빛 2호기(2026년) 등 잇따라 원전 설계수명이 만료될 예정이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