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국가재난망 결국 예산 깎여 이달 발주…"IT 업계 수주전 돌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7초

국민안전처, 이달중순 436억 규모 시범사업 사업 발주
기재부 협의 거치며 예산 7.2% 삭감…총사업비도 줄어들 듯
삼성전자·KT·SKT·LGU+ 등 수주전 돌입



국가재난망 결국 예산 깎여 이달 발주…"IT 업계 수주전 돌입" 삼성전자가 지난 6월 1일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정부와 학계 주요 인사들을 초청해 PS-LTE 표준 기반의 재난안전통신망을 시연하고 관련 통신장비를 공개했다. 사진은 성전자 응급 구조대원이 재난망용 스마트폰으로 현장에서 중앙관제소와 통신을 하고 있는 모습.(사진:삼성전자)
AD


[아시아경제 강희종 기자]국가재난안전통신망(국가재난망) 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이달중 시범 사업자 선정에 돌입한다.


국민안전처 관계자는 2일 "기획재정부와 시범사업에 대한 협의를 마쳤다"며 "이달 중순 조달청을 통해 국가재난망 시범사업을 발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가재난망 시범사업은 당초 계획(470억원)보다 약 7.2% 삭감된 436억원으로 확정됐다. 정부는 7월말 늦어도 8월초까지 시범사업자를 선정해 강원도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실시할 계획이다. 당초 4월께 입찰을 실시한다는 계획에서 늦어진 만큼 시범사업은 내년 2월까지로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국가재난망 사업이란 재난 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경찰, 소방, 군, 전기, 가스, 지자체 등의 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하는 사업이다. 정부는 지난 3월31일 국무회의에서 국가재난망 세부계획을 의결했으나 기획재정부의 반대로 예산부분은 제외했다.


이후 기재부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의뢰해 총 1조7000억원 규모의 국가재난망 총 사업비에 대한 점검을 실시했다. KISDI는 지난달 말 총사업비 검증 결과를 기재부에 제출했으며 기재부는 이를 토대로 시범사업비 예산을 최종 확정했다.


기재부는 국민안전처가 마련한 예산안 중 국가재난망 시스템에서 일부 과잉 설계가 있었다고 보고 예산을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가령, 국가재난망 예상 사용자가 20만명인데, 시스템은 100만명을 수용할 수 것을 예상해 설계됐다는 것이다.


시범사업의 예산 축소 비율(약 7%)을 총사업비에 그대로 적용하면 총사업비는 약 1조2000억원 규모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총사업비 검증을 담당했던 김사혁 KISDI 부연구위원은 "여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해 최대한 예산을 절감하면서도 국가재난망 사업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했다"고 말을 아꼈다.


국민안전처는 예산이 확정된 올해 시범사업을 시급히 추진하되, 총사업비에 대해서는 기재부와 협의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국가재난망 시범사업 발주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관련 사업자들의 움직임도 바빠졌다. 시범사업자로 선정되면 향후 조단위의 전국 사업에서도 유리한 고지에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수주전이 치열하다.


삼성전자는 지난 1일 수원 삼성디지털시티에서 정부와 학계 주요 인사들을 초청한 가운데 PS(공공안전)-LTE 표준 기반의 재난안전통신망을 시연하고 관련 통신 장비를 공개했다. PS-LTE는 우리나라가 국가재난망 기술 표준으로 삼은 통신 방식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PTT(푸시투토크), eMBMS(진화된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D2D(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등의 기술을 선보였다.


이날 효성의 IT 계열사인 효성ITX는 노키아와 국가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사업과 관련해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에릭슨, 화웨이 등도 국내 재난망 사업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 업체들이 시스템통합(SI) 및 통신장비 업체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주전을 펼칠 것으로 보고 있다. KT-삼성전자, SK텔레콤-SK C&C-노키아, LG유플러스-LG CNS-에릭슨이 연합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국가 재난망 시범사업은 강원도 평창과 정선ㆍ강릉 등 2곳으로 나눠 지역별 분리발주로 진행될 예정이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