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무협 "엔화 약세로 수출기업 70.3% 경쟁력 위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1초

유로화 약세로 이중고 직면, 對 EU 수출기업 절반이 경쟁력 약화

[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최근 엔화 및 유로화 약세로 우리 수출기업의 70%가 경쟁력 약화 위기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8일 발표한 '최근 엔화 및 유로화 약세의 수출기업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수출기업 307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업체의 70.3%가 현 원·엔 수준(100엔당 900원 내외)에서 일본 제품과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응답했다.

무협 "엔화 약세로 수출기업 70.3% 경쟁력 위기"
AD

업종별로는 상대적으로 일본과 경합관계가 높은 철강금속(74.4%), 기계류(72.9%) 등에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최근의 원·엔 환율 수준에서 응답업체의 54.1%가 채산성 악화에 직면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수출물량까지 줄었다는 응답은 30.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현재의 원·엔 환율 수준이 올해 말까지 지속될 경우 전체 응답업체의 57.7%가 '올해 수출이 당초 목표 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목표 대비 10% 이상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 비중도 18.6%에 달했다.


엔저에 힘입어 일본 경쟁기업들이 '최근 수출단가를 인하했다'는 응답은 43.3%에 달해 앞으로 우리 수출기업의 가격경쟁력 약화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유로화 약세와 관련해서는 응답업체의 51.8%가 현 환율 수준(유로당 1230원 내외)에서 대(對) EU 수출시 경쟁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답했으며 업종별로는 섬유(58.6%), 기계(57.1%), 철강금속(54.1%)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최근 원·유로 환율 수준에서 응답업체의 54.4%가 채산성 악화에 직면했으며 수출물량까지 줄었다는 응답도 22.8%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현재의 환율 수준이 올해 말까지 지속될 경우 응답업체의 34.2%가 목표 대비 5% 이상의 EU 수출 차질을 예상했으며 업종별로는 섬유(41.3%), 화학공업(36.0%) 등에서 수출 차질을 우려하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무역협회 오세환 수석연구원은 "과도한 환율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정책 당국의 환율 안정화 노력과 국제적인 정책공조가 필요하다"면서 "환리스크 관리 강화, 원가절감 등 우리 수출기업들의 적극적인 자구 노력도 함께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