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경영성과도 좋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9초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이 경영성과도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ISO 26000 간사기관인 한국표준협회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가늠할 수 있는 척도인 지속가능성지수(Korean Sustainability Index, KSI)가 높을수록 총자산수익률(Return on Assets, ROA)도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9일 발표했다.


ISO 26000은 국제표준기구(ISO)가 개발한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으로 세계적으로 1만개가 넘는 기업이 지침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국표준협회가 ISO 26000 개발단계부터 참여했으며 2009년 간사기관으로 지정됐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다소 모호한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실제 경영활동에 반영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한국표준협회는 각 기업이 ISO 26000에서 제시하는 가이드 라인을 얼마나 준수하는가를 수치화해 비교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지수(Korean Sustainability Index, KSI)'를 개발해 보급하고 있다. KSI 모델을 이용하면 이해관계자와 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기업이 얼마나 지속가능한가 측정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기업의 KSI 지수와 총자산수익률(ROA)과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됐다. 최근 5년간 KSI 평가 대상기업 60곳을 분석한 결과, 총점 100점인 KSI가 1증가하면 총자산수익률은 0.32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총자산수익률은 기업의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으로 직접적인 수익이 증가를 알 수 있는 수치다. 즉, 기업이 ISO 26000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경우 영업이익 등 경영성과도 향상된다.


지금까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은 단순히 이미지 제고나 홍보 수단으로서 인식됐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경영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셈이라고 협회는 설명했다. 이는 향후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음을 시사한다.


표준협회는 매년 기업들의 지속가능성지수를 측정해 발표하며 오는 10월 각 분야별 지속가능성지수 1위 기업에 대한 인증 수여식이 개최될 예정이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