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울분토한 성완종 "난 MB맨 아닌 피해자…진실 밝혀질 것"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울분토한 성완종 "난 MB맨 아닌 피해자…진실 밝혀질 것"
AD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성완종 경남기업 전 회장이 "나는 MB맨이 아니다"면서 횡령 혐의를 전면 부인했다. 검찰 수사를 받고 구속영장까지 청구된 인물이 기자회견을 자처해 입장을 밝힌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성 전 회장은 8일 오후 서울 명동 전국은행연합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7년 이명박 정부 인수위원회 자문위원을 추천받았지만 첫 회의 참석 후 중도사퇴했다"며 MB정부 출범부터 별다른 인연이 없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2012년 총선에서 선진통일당 서산·태안 국회의원으로 당선됐고 새누리당과의 합당 이후 대선과정에서 박근혜 후보를 위해 혼신을 다했다"며 박근혜 대통령과의 인연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어 "2013년 워크아웃 신청도 당시 제가 현역국회의원 신분이었지만 어떠한 외압을 행사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성 전 회장은 검찰이 자신에게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혐의를 두고 있지만 해외자원개발 과정에서 300억원의 융자금을 개인적으로 횡령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그는 "성공불융자금은 해외 자원개발에 참여하는 기업은 모두 신청할 수 있고, 당사의 모든 사업은 석유공사를 주간사로 해 한국컨소시엄의 일원으로 참여했는데 유독 경남기업만 특혜를 받았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또 "경남기업은 2011년까지 총 1342억원을 해외자원개발에 투자했는데, 석유 및 가스탐사 사업 4건에 653억원을 투자했고 이 중 321억원은 성공불융자로 지원받고 332억원은 자체자금으로 투자해 모두 손실처리함에 따라 회사도 큰 손해를 봤다"고 설명했다.


성 전 회장은 또 "잘못 알려진 사실로 제 한평생 쌓아온 모든 것이 한순간에 무너지는 것 같아 참담하다"며 "제가 왜 자원외교의 표적 대상이 됐는지, 있지도 않은 일들이 마치 사실인양 부풀려졌는지 이유를 모르겠지만 진실은 반드시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중앙지방법원 파산25부(부장판사 이재권)는 전날 경남기업의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계열사 경남인베스트먼트와 대아레저산업에 대해서도 같은 결정을 내렸다.


법원은 지난해 말 완전 자본잠식 되는 등 재정적 파탄상태에 이르게 된 경남기업의 상황이 법률상 회생절차 개시 요건에 해당되며, 그밖에 회생절차 개시신청을 기각할 사유는 없다고 보고 이런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이보다 앞선 지난 6일 검찰은 회사 재무상태를 속여 해외 자원개발 사업에 지원되는 정부융자금 460억원을 받아내고 경남기업 관계사들과의 거래대금 조작을 통해 230억원가량의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횡령)로 성 전 회장에 대한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