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되면 신흥국은 부채 문제로 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대외부채 부담이 낮은 국가는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29일 대신증권에 따르면 최근 국제결제은행(BIS)를 비롯해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해외부채에 대한 위험 경고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이 하반기에 시작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는 가운데 달러조달 환경이 변할 경우 높은 대외부채에 따른 위험이 확대될 수 있다.
국제결제은행 통계를 보면 위험가중 자산 기준 대외부채 규모는 약 31조달러다. 미국이 금융위기 이후 미국에 이어, 재정위기에 빠진 유럽 부채조정에 따라 선진국의 외화부채는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신흥국의 부채는 9조7000억달러 증가했다.
김승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신흥국 은행들의 차입보다는 공공부문과 민간의 차입이 견조하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라며 "신흥국의 민간부채는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3%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달러 등 외화부채 조달에 문제가 발생하면 신흥국들은 이중고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전체 외화조달 부채 중 달러화 비중은 60%까지 상승했다.
김 연구원은 "달러조달 금리가 상승하거나 달러 유동성 규모 축소 이벤트가 발생하면 부채 비율이 높은 신흥국은 위험할 수밖에 없다"며 "유럽의 유동성 확장이 멈추거나 미국의 유동성 축소 우려가 생길 때마다 신흥국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대외부채 의존도가 높은 브라질의 경우 불안 국면이 조성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재정건전성이 좋은 동유럽·아시아 국가들은 수혜를 입을 가능성도 있을 전망이다.
김 연구원은 "브라질은 쌍둥이 적자로 연 2000억달러 이상 조달하지 못하면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며 "브라질과 같은 대외부채 부담이 높은 국가는 소외되고 동유럽과 아시아 국가로 상대적인 선호가 몰릴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