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의원 표밭 구획정리…칼자루를 쥔 이병석 위원장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내년 총선 선거구 재획정 고심하는 국회 정치개혁특별委 위원장 이병석

제3기관 맡길지, 자체 판단할지
아직 결정 못했다며 말아껴
정채특위 6개월간 선거制 논의
완전국민경선제·석패율제도 고민

의원 표밭 구획정리…칼자루를 쥔 이병석 위원장 이병석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AD


[아시아경제 김보경 기자] 이달 초부터 여야 의원들의 초미의 관심사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직을 누가 맡을지 여부였다. 특위 위원장은 여야가 번갈아 맡는 관행에 따라 새누리당 소속이면서 3선급 이상인 의원 중에 선출된다. 그럼에도 이번 정개특위 위원장은 의원들의 민감한 이해관계가 달려있는 선거구 재획정 안건을 다루기 때문에 여야 의원들 모두 촉각을 곤두세운 것이다. 물망에 오른 의원들은 겉으로 고사했지만 경쟁률은 최대 10대 1에 달할 정도로 관심이 높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 원내대표는 지난 17일 정개특위 위원 20명의 명단을 교환한 후 19대 국회 전반기 부의장을 지낸 이병석 의원을 위원장으로 최종 결정했다.

4선이라는 선수만큼 국회 내 책무나 과업에 웬만큼 단련이 됐을 이 위원장이지만 정개특위 위원장에 임하는 그의 어깨는 유난히 무겁다. 과거 거의 회기마다 정개특위가 꾸려졌지만 이번엔 본질이 다르다. 오는 8월 말까지 6개월간 진행되는 이번 특위에서 내년 총선의 기초를 닦는 선거구 획정을 논의해야 한다. 지난해 헌법재판소 위헌 판결에 따라 선거구 재획정을 실시하면 전국 선거구 246개 중 수십 개가 사라지거나 새로 생기게 된다. 국회의원의 '밥줄'을 다뤄야 하는 만큼 내부 압력이 만만치 않은 점은 부담일 수밖에 없다. 여야가 큰 이견을 보이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석패율제' 등 각종 선거제도를 도입할지 여부도 그의 몫이다.


이 위원장도 부담이 상당함을 내비쳤다. 섣불리 속내를 털어놓기가 부담스런 모습이 역력했다. 이 위원장은 최근 아시아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선거구 획정을 독립 기구에 맡길지, 정개특위에서 자체적으로 확정할 것인지 논의할 것"이라고 말할 뿐 더 이상 속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여야 혁신위원회는 이미 선거구 획정을 정개특위가 아닌 중앙선거관리위원회나 제3기관에 맡겨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은 상태다. 정개특위 내 여러 위원들도 "선거구 획정은 공정하고 중립적인 독립기구에 맡겨야 한다"며 벌써부터 압력을 행사하는 모습이다.


정치혁신으로 여야가 내놓은 오픈 프라이머리 등 선거제도 개편도 이번에 다뤄야 할 중요한 과제다. 이 위원장은 "무엇보다 선거제도에 국민 의사가 반영되고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일꾼이 뽑힐 수 있는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며 "그 대안으로 떠오르는 것이 바로 오픈프라이머리인데 여야 간 동의가 이뤄진다면 정개특위에서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고 본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그러면서 "정치개혁 전반에 관한 사안을 심사하고 처리하는 정개특위에 가장 필요한 것은 위원장의 운영능력"이라고 강조했다. 본인 스스로도 무게감을 느끼는 부분이다. 그래서일까. 이 위원장은 지난 18일 첫 전체회의를 주재하며 여야 위원들의 발언을 귀담아 듣기 위해 노력했다.


이 위원장은 '과거와는 다른 특위'를 강조했다. 그는 "이번 정개특위가 향후 대한민국 100년 정치의 방향을 정하는 주춧돌을 놨다는 의미를 살릴 수 있도록 압축적이고 효율적 그리고 생산적인 특위로 만들어 좋은 결과를 만들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 위원장은 함께 활동하는 위원들에게 "관행적인 정개특위 운영 일정을 뛰어넘어 밤을 샐 때 밤을 새고, 매일 만날 때 만나고, 머리 맞댈 때 맞대서 국민들이 원하는 투명정치, 진정한 정치개혁의 출발을 정개특위가 만드는 큰 개가를 국민들에게 선물할 수 있도록 협력해 주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