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마트폰이 내 마음까지 알아서 척척"…SKT, 9월 개인비서 서비스 첫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SKT, MWC2015서 인텔리전스 알고리즘 'BE-ME' 플랫폼 시연
BE-ME 플랫폼 기반 개인 비서 '에고 메이트' 9월 상용화 예정


<아시아경제 강희종기자>출근 시간 집을 나서자 마자 스마트폰에서 버스 도착 예상 시각을 알려준다. 점심 시간엔 내 입맛에 맞게 주변 음식점을 추천해준다.

SK텔레콤은 스페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015'에서 휴대폰 개인 비서 서비스인 '에고메이트(EGGO Mate, 가칭)'를 시연하고, 9월에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이번에 SK텔레콤이 시연한 에고메이트는 일정관리, 라이프로그, 원격 스마트폰 관리 3가지다. 일정 관리 기능은 모임 일정을 잡기 위해 각자 스케줄을 확인하고 장소를 조율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사이버 비서가 대신해 주는 것이다.

라이프 로그는 마치 일기를 쓰듯 취미·여가·건강 활동에서 만들어지는 기록을 스마트폰이 체계적으로 정리해주는 서비스이다. 원격 스마트폰 관리는 스마트폰을 잃어버렸거나 두고 왔을 때, PC를 통해 사이버 비서와 대화하며 스마트폰 위치를 파악하고 스마트폰에 온 통화/문자 정보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다.

SK텔레콤은 에고 메이트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해 올해 9월 경 상용화할 계획이다.


"스마트폰이 내 마음까지 알아서 척척"…SKT, 9월 개인비서 서비스 첫선 SK텔레콤이 이용자의 상황을 스스로 판단해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BE-ME 플랫폼'과 이 플랫폼 기반의 개인 사이버 비서 서비스 '에고 메이트(가칭)를 MWC 2015에서 처음 선보였다. 사진은 4일 MWC SK텔레콤 부스에서 도우미가 'BE-ME 플랫폼'을 시연하고 있는 모습.
AD


에고메이트는 이용자의 상황을 스스로 판단해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SK텔레콤의 'BE-ME'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BE-ME 플랫폼은 SK텔레콤이 독자 개발한 ‘인텔리전스 알고리즘’을 탑재해 정보 입력 없이도 이용자가 스마트폰을 들고 다니기만 하면 스마트폰 조도·모션·고도 등 각종 센서 정보, 와이파이·블루투스·기지국 등을 활용한 위치 정보, 앱 이용 정보 등을 통해 이용자의 일상적 패턴을 추론한다.


예를 들어, 어두운 곳에서 스마트폰의 움직임이 장시간 발생하지 않는다면 이용자가 취침중이며, '취침’이 반복되는 장소는 ‘집’이며, 비슷한 방식으로 ‘직장’, ‘출·퇴근 경로’, ‘이용 교통수단’ 등을 모두 인식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은 반복되는 정보 분석과 추론을 통해 시간이 지날 수록 정확도를 높여 나간다.


SK텔레콤 관계자는 "BE-ME 플랫폼을 활용한 서비스는 최적의 타이밍에 일대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자는 ‘내 마음을 아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며 "작년 9월 1차 개발을 완료했으며 학습 알고리즘을 추가하며 기능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남석 SK텔레콤 ICT기술원장은 “BE-ME플랫폼과 같은 개인화 기술을 통해 기계와 사람이 소통하고 이해하는 인텔리전스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며 “스마트폰 뿐 아니라 가전, 로봇,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사물인터넷(IoT) 과 결합할 때 삶의 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강희종 기자 mindl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