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B 'CEO 연임 우선권'…혁신 들쑤시는 '정치학'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아시아경제 김대섭 기자] 순탄할 것 같았던 KB금융지주의 현직 CEO 연임 우선권 도입에 급제동이 걸렸다. '경영 혁신'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외부 입김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KB금융은 오는 9일 이사회를 다시 열고 최종 결정을 내릴 예정이지만 정치적 외풍에 대한 KB금융지주의 경쟁력이 우려되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KB금융 이사회가 현직 CEO에 연임 우선권을 주는 지배구조 개선안에 대해 결론을 내지 못한 배경에는 정치적인 역학 관계가 작용했다는 지적이다. 요약하면 '외풍을 막으려는 KB금융'과 '입김을 유지하려는 정치세력' 구도의 충돌인 것이다.

KB금융이 추진하는 지배구조 개선안의 핵심은 차기 최고경영자(CEO) 선임시 현직 회장에게 우선권을 주는 승계 프로그램 도입이다. 차기 CEO 선임시 현직 회장에게 연임 여부를 묻고 희망할 경우 사외이사로 구성된 지배구조위원회에서 재무성과, 고객만족도, 비재무성과 등 그룹경영실적을 우선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현직 회장의 경영성과를 우선 평가하지만 내외부 후보군과 비교 후에 연임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KB금융 관계자는 "그동안 정치적인 입김 때문에 혁신하지 못했던 지배구조 개선안을 이제는 바꿀 때가 됐다는 인식이 확산됐고 이는 KB가 가야 할 방향이 맞다"며 "추락한 위상과 신뢰를 회복하고 KB금융을 재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KB금융은 그동안 회장의 임기가 끝날 때마다 차기 회장 선임을 놓고 정권의 압력에 시달렸다. KB금융 내부 출신이 아닌 외부 출신 CEO가 낙하산으로 선임되는 일이 반복됐고 차기 회장을 놓고 금융당국과 갈등을 빚다 중도 사퇴하는 일도 벌어졌다. 지난해 KB금융의 위상을 크게 추락시킨 'KB 사태'도 그 배경 중 하나에는 서로 다른 줄을 타고 온 낙하산 경영진 간의 기싸움 때문이었다는 게 금융권 시각이다.


KB금융은 당초 윤 회장부터 연임 우선권을 주는 승계 프로그램을 추진했지만 차기 회장부터 적용하는 2안을 새로 만들었다. 대부분의 사외이사들은 당초 추진했던 윤 회장부터 연임 우선권을 주는데 찬성하고 있지만 윤 회장은 차기 회장부터 연임 우선권을 부여해 달라며 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KB금융이 수개월간 외부 컨설팅업체의 연구용역과 내부 논의를 거쳐 지배구조 개선안을 바꾸려 했지만 유보한 것은 정부나 금융당국에 대한 부담감이 컸기 때문일 것"이라며 "일각에서 연임 우선권에 대한 공정성과 윤종규 회장의 장기 집권을 운운하며 부정적인 시각을 보낸 것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서는 KB금융이 정치적인 역학 관계 때문에 혁신과 변화를 포기할 경우 국내 금융산업의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뱅크오브아메리카와 JP모건체이스 등 글로벌 금융회사들이 이미 KB금융이 추진하는 지배구조 개선안과 비슷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며 "그동안 관치금융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는 점에서 이사회가 소신껏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대섭 기자 joas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