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집에서 마시는 술값 1만1000원…'사상 최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집에서 먹기 위해 술을 사는 소비가 급증했다.


23일 통계청 가계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전국, 2인이상) 월평균 주류 지출액은 1만1267원으로 전년보다 4.8% 늘었다.

주점이나 음식점에서 마시는 술 소비는 음식·숙박비로 분류되는 반면, 주류지출액은 술을 사서 집에서 소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주류지출액은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많은 액수다.

2003년 6359원에 불과했던 가구당 월평균 주류 소비 지출액은 2004년 7002원으로 7000원을 넘어선 이후 2009년 8356원, 2010년 9021원, 2013년 1만751원 등으로 매년 최고치를 경신하며 증가하고 있다.


주류업계는 소주의 도수가 낮아지면서 판매량이 늘고, '소맥'(소주+맥주)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맥주 소비도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또 포도주나 수입 맥주 등 고가 주류를 사서 집에서 마시는 소비자도 증가하고 있다.


소득 5분위별 지난해 월평균 주류 소비 지출액은 소득 하위 20%인 1분위 6861원, 2분위 1만436원, 3분위 1만1748원, 4분위 1만2631원, 소득 상위 20%인 5분위 1만4657원 등으로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류와 달리 담배 소비 지출액은 2011년부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전국 가구 월평균 담배 지출액은 1만6천573원으로 전년보다 4.0% 감소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적었다. 지난 2003년 1만6653원이었던 담뱃값 지출액은 2006년 2만2062원까지 증가한 이후 2012년 1만8351원, 2013년 1만7263원 등으로 지난해까지 감소세가 지속됐다.


소득분위별 지난해 월평균 담배 소비 지출액을 보면 2분위가 1만8132원으로 가장 많았고 3분위 1만8125원, 4분위 1만5873원, 5분위 1만5804원, 1분위 1만4932원 등으로 나타나 서민층과 중산층의 담뱃값 지출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