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의 가회동 임대 공관 입주가 세간의 입길에 오르내리고 있다. 일부 보수 시민단체들은 '전세 보증금' 28억원 짜리 건물에 입주하는 박 시장을 향해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황제 공관' 이니 "서민 이미지를 내세워 당선되더니 가면을 벗었다"는 등의 내용이다.
우선 사실 여부를 따져보자. 새 공관은 지어진 지 꽤 오래된 집으로, 연면적 660㎡, 건물 405.4㎡ 지하1층, 지상2층 규모다. '시장'을 찾아오는 손님을 맞기 위해 마당이 딸려 있고 다소 방이 많은 것을 제외하면 낡은 단독 주택 수준이다. 부산시장 공관(연면적 1만8006㎡ 건물 2437㎡) 등 타 광역자치단체장의 사례를 보더라도 '황제 공관'이라는 비난은 지나쳐 보인다. 게다가 임대 보증금 28억원도 2년 후 계약이 끝나면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이다.
또 하나, 원래 서울시장에게 공관이 없었던 것이 아니다. 140억원짜리 혜화동 옛 공관이 한양도성 복원 사업으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돼서 새로 구하게 됐을 뿐이다. 140억원짜리 공관에 거주하던 전직 서울시장 때에는 '호화' 논란이 있었던가?
사실 서울시장 공관 논란의 발단은 오세훈 전 시장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시는 한양도성을 복원하기 위해 혜화동 공관을 비우라는 문화재청의 통보를 받고 대체 공관으로 건축비만 59억원을 들여 한남동 시유지 내 옛 한강시민공원사업소 자리에 새 공관을 지었다. 그런데 오 전 시장이 2008년 말 돌연 이 곳을 중소기업 지원시설(서울파트너스하우스)로 용도를 바꾸면서 상황이 꼬이게 됐다. 결국 서울시장의 공관이 없어져버렸고, 2012년 취임한 박 시장은 임대 공관을 전전하는 '떠돌이 신세'가 됐다.
이렇게 본다면 서울시장 공관 논란은 동대문디자인프라자, 세빛둥둥섬 등과 함께 오 전 시장이 박 시장에게 남긴 또 다른 형태의 '유산'인 셈이다. 시비를 따지려면 이런 경위까지 함께 살펴야 공정할 듯하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