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알바몬 '알바가 갑이다' 광고 잇따른 항의에 일부 중단…네티즌 반응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초

알바몬 '알바가 갑이다' 광고 잇따른 항의에 일부 중단…네티즌 반응은? 사진='알바몬' 광고 '최저시급편'(위), '인격모독편' (아래)
AD



알바몬 '알바가 갑이다' 광고 잇따른 항의에 일부 중단…네티즌 반응은?

[아시아경제 온라인이슈팀] 최근 아르바이트 구인·구직 사이트 '알바몬'의 광고 논란이 뜨겁다. 지난 1일부터 방송중인 '알바가 갑이다'란 제목의 알바몬 광고는 '최저시급', '야간수당', '인격모독' 편으로 총 3가지다.

광고는 '법으로 정한 대한민국 최저시급은 5580원', '대한민국 알바들의 야간 근무수당은 시급의 1.5배', '알바라고 무시하면 새 알바를 찾아 나서세요' 등 아르바이트생의 근로기준법상 권리를 주장하는 내용이다.


이에 소상공인들은 '알바몬'의 광고가 대다수를 악덕업주로 묘사했다고 반발하며 알바몬 탈퇴 움직임을 벌였다.

실제 한국인터넷콘텐츠서비스협동조합은 지난 4일 "알바몬은 PC방, 주유소, 편의점을 포함한 수많은 자영업 소상공인 업주들이 최저임금과 야간수당을 지키지 않는 악덕 고용주로 오해받을 수 있는 내용을 광고에 포함시켰다"며 "광고를 즉각적으로 중지하고, 소상공인 전체에게 공개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알바몬은 5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특정 업종이나 업주를 겨냥하는 내용이나 언급, 의도는 전혀 없다. 이번 알바몬 광고는 아르바이트 근무 현장에서 가장 쉽게 간과되는 알바생의 법적 근로권리를 소재로 알기 쉽게 제작해 아르바이트 근무 환경의 개선을 꾀하고자 제작된 것"이라며 "의도와 다르게 심려를 끼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라고 사과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항의를 받아들여 야근수당 편을 방영 중지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당연한 법적권리를 설명한 공익광고에 가까운 내용인데 왜 방영을 중지해야 하느냐는 반응이다. 네티즌들은 대체로 "법대로 달라는 게 잘못된거냐" "악덕주들 자기 얼굴에 침뱉기다" "악덕주들 뜨끔 하신 듯?" "광고 더 만들었으면 좋겠다"라는 의견을 보였다.


이에 대해 잡코리아 알바몬 관계자는 6일 티브이데일리에 "이같은 논란은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부분이다. 알바몬 광고는 '갑'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지만 갑을의 대결구도로 그려지길 바란 게 아니고 알바생도 존중받아야하고 자부심을 갖고 일하라는 의미에서 기획된 것이었고, 알바생의 권리와 환경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만든 광고였다"라고 전했다.


또한 야근수당 광고 방영 중지에 대해서는 "광고라는 매체 특성상 모든 조항들을 설명하지 못했고 기본적인 권리에 대해서만 설명했기에 설명이 미흡하다고 생각해 중지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갑을논란을 원했던 바가 아니라 조심스러운 부분이고, 더 이상의 논란이 파생되거나 알바생과 기업 간의 대결구도로 치닫는 것을 원치 않는다. 중요한 건 이번 광고가 만들어졌던 좋은 의도를 알아주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온라인이슈팀 issu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