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어서는 돈이 없어도 되지만 돈 없이 늙을 순 없어. 늙으면 돈이 있어야 해. 돈 없이 늙는 건 너무 끔찍하니까."
'뜨거운 양철 지붕 위의 고양이'에 등장하는 대사의 한 대목이다. 미국이 낳은 위대한 극작가 테네시 윌리엄스의 작품. 이 작품은 유진 오닐과 더불어 미국 현대 연극을 이끈 그에게 두 번째 퓰리처상을 안겨준다. 작품에서 알코올에 빠져 아버지의 유산에도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 남편 브릭에게 아내 매기가 이런 대사를 던진다. "늙으면 돈이 있어야 한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공감한다. 특히 요즘 세태라면 더욱 그럴 것이다. 그런데 어떻게 돈을 모을 것이냐고 되묻는다면 대답은….
지금 많은 한국인들은 적어도 노후 자금 마련 측면에서는 심각한 우울증을 겪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81.9세, 반면 평균 퇴직나이는 53세에 불과하다. 조기퇴직에 수명연장으로 상당수 직장인들은 퇴직 후 빈 호주머니에 할 일 없이 30~40년간 지루한 여생을 어떻게 보내야 할지 막막하다. 걱정이 앞선다. 그래도 여전히 많은 이들은 부동산을 최고의 노(老)테크 수단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 리서치 전문업체 한국갤럽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부동산, 그 중에서도 아파트ㆍ주택(16%)보다 토지 구매(22%)를 선호했다. 이에 비해 은행 적금은 2001년 63%에서 2006년 28%까지 떨어진 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펀드나 주식 투자도 원금 손실 우려 때문에 뒷전으로 밀려났다. 미래는 불안한 데 기댈만한 언덕이 없고 정치와 경제는 온통 먹구름이니 사람들이 부동산을 베개삼아 겨울잠을 자는 셈이다. 한마디로 노후에 대한 불안심리가 빚은 왜곡현상이다.
정부는 국민연금을 개혁하거나 매년 6% 이상 꾸준히 경제성장을 이뤄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줘야 한다. 하지만 이도 저도 쉽지 않아 보인다. 그렇다면 부동산에 버금가는 안정적인 투자대상이라도 만들어줘야 한다. 은행 금리가 바닥으로 갈 때 통상 시중 자금은 보다 높은 수익률을 좇아 자본시장으로 몰려간다. 일찍이 저금리 시대로 진입한 서구 선진국 가계는 주식시장을 출구로 삼았다. 국내 사정은 다르다. 예금에 들어가 있던 보수적 자금이 주식시장으로 흘러들어 갈 여건이 마련되지 않은 탓이다. 상징적 걸림돌이 '배당의 부재'다. 한국 증시의 올해 예상 배당성향은 13.7%로 세계 최저 수준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영국(46.2%), 대만(43.6%), 브라질(38.5%), 중국(29.6%), 미국(29.4%), 일본(26.2%), 인도(21.9%), 러시아(21.1%) 등 주요국과 격차가 여전히 크다.
다행히 최근 정부는 '기업소득환류세제'라는 법제 개편을 통해 기업의 배당 및 투자를 늘리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한국시장의 큰손 격인 연기금에 대해서도 배당관련 주주권 행사를 제한하는 법령을 개정하는 등 배당 확대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정부와 주주들의 배당 요구가 잇따르면서 상장사들의 배당 확대 움직임도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들어 17일까지 현금 또는 주식으로 결산 배당하겠다는 계획을 공시한 곳은 총 49곳이다. 이는 전년 동기(15곳)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인생의 3분의 1을 확실하게 담보할 일자리 없이 노후로 살아야 하는 변혁의 시대다. 여기에 고령화와 이에 따른 성장률 둔화, 금리 하락은 추세화되고 있다. 돈을 모으고 굴리는 일이 과거보다 훨씬 더 어렵고 더 조심스럽다는 얘기다. 이런 가운데 배당은 고령화와 저금리 시대의 새로운 투자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단기 시세차익을 노리지 말고 좋은 기업을 골라 투자한 뒤 함께 성장하겠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주식만큼 노후를 책임져 줄 확실한 투자대상도 없어 보인다.
구조적 장기 침체의 문턱에서, 변혁의 시대에서, 투자대안의 부재 속에서 또 한번 주식시장의 경제순기능 역할을 기대한다.
김종수 증권부장 kjs33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