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전자.철강, 점유율 감소.소송 등 업계 비상
-전경련은 양국 공동 관광활성화 협력방안 논의
-商議회장단 상견례 긴밀협력 시너지 창출 모색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이광호 기자, 김승미 기자]한일간 교역량 감소는 양국 소비시장은 물론 기업간 거래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양국 재계가 정부간 갈등으로 불거진 경색국면 풀기에 나서 주목된다. 한일 정부간 갈등의 원인이 위안부, 독도 등 국민정서와 직결되는 부분이다보니 소비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대표적인 것은 자동차. 일부 일본 완성차 브랜드의 경우 국내에서 개점휴업 상태나 다름없을 정도다.실제 지난 2008년 국내 수입차 시장 점유율 35.5%에 달했던 일본 자동차는 지난해 14%로 주저앉았고, 올해는 10%대 조차도 위협받고 있다.
한국산 자동차의 일본 판매도 전무한 상태다. 올해 1∼7월 일본으로 수출된 한국산 자동차는 고작 222대다.
현대자동차가 지난 2009년 일본 승용차 시장에서 철수한데 이어 지난해 3월에는 기아자동차가 일본법인인 기아재팬을 청산하는 등 사실상 일본 자동차 시장에서 손을 뗐다.
전자업종 또한 마찬가지다. 일본 소니는 사실상 국내 TV 시장에서 철수했고, 비디오게임기, 디지털카메라 위주로 국내 사업을 재정비 한지 오래다. 삼성전자 역시 일본 TV 시장에서 철수했다.
올 상반기 국내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본 수출은 전년대비 23.9%나 감소했고, 반도체 및 휴대폰은 각각 7.9%와 9% 줄었다. 일본산 전자부품 및 기기 수입 역시 전년대비 9.8% 감소했다.
한일 관계 악화는 소비자는 물론 양국 기업에게도 이미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곪을 대로 곪은 양국 외교관계가 소비자를 넘어 기업간 문제로 고착화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기업들과 일본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전자, 철강, 자동차 등 분야에서는 대치전선을 형성하고 있다. 실제 한국 기업과 일본 기업간 법정 소송전 등이 잇달아 전개되고 있다.
포스코는 신일본주금(신일본제철)과 2년째 소송전을 벌이고 있다. 일본 태양전지 생산업체 교세라는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높이는 기술과 관련한 특허권을 침해당했다며 한화그룹의 태양광사업 일본법인 한화큐셀재팬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지난 7월 도쿄지법에 냈다.
도시바는 지난 3월 도쿄지방법원에 SK하이닉스를 낸드플래시 관련 기술 유출 혐의로 제소했다. 소송가액만 1조원이 넘는다.
양국 정부간 경색국면이 소비자, 기업문제로 확산되자 재계가 내년 한국-일본 양국간 국교정상화 50주년을 앞두고 일본 재계와 경제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아베 총리 체제 이후 양국 정치 ㆍ외교가 경색되는 가운데 재계가 돌파구를 찾겠다는 취지에서다.
15일 정부와 재계에 따르면 7년 만에 한일 재계회의가 올해 12월 1일 서울에서 다시 열린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일본의 재계 단체인 게이단렌(경제단체연합회)이 한일 재계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장소는 지난해 12월 준공한 여의도 전경련 신축 회관이 유력하다.
양국 간 재계 회의는 2007년 11월 30일 도쿄 게이단렌 회관에서 열린 것이 마지막이다. 이후 7년간 양국 정치 외교관계가 악화하면서 재계 만남은 중단됐다. 전경련은 이에 앞서 지난달 29일 게이단렌과 공동으로 한일관광협력협력회의를 열고 양국 간 관광을 재활성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재계의 맏형인 대한상공회의소와 일본상공회의소는 지난 7월 제주 신라호텔에서 제8회 한일상공회의소 회장단 회의를 열었다. 양국 상의 회장으로 취임한 박용만 회장과 미무라 아키오 회장이 상견례를 한 것이다.
박 회장은 "아시아의 두 주역 국가인 한국과 일본이 상호 긴밀히 협력해 새로운 성장기회를 찾아야 한다"면서 "한국기업의 강점인 강한 추진력과 일본 기업의 강점인 세밀한 조직력을 결합해 신흥시장에 진출한다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이라고 밝혔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이광호 기자 kwang@asiae.co.kr
김승미 기자 askm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