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끝나지 않은 임대주택 설움,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2초

임대민들,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 사용 불가에 항의… 서울시·마포구 “어쩔 수 없어”

[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지난 2012년 임대 입주민에 대한 차별로 논란을 빚은 서울 마포의 '메세나폴리스' 주상복합이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당시 공용 커뮤니티시설인 '자이안센터'를 일정 기간 개방하기로 하면서 일단락됐지만 2년이 지난 지금도 차별은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끝나지 않은 임대주택 설움, “여기서 이러시면 안됩니다” 서울 마포구 합정동에 위치한 초고가 주상복합아파트 ‘메세나폴리스’가 또다시 임대민 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
AD

25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마포구 합정동에 위치한 초고가 주상복합아파트 '메세나폴리스' 임대주택 입주민들이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 이용 규약에 대해 시에 조정을 요청했다. 메세나폴리스는 상업ㆍ주거시설, 오피스 등 4개동의 복합단지다. 2008년 분양 당시 도심 한복판의 고급 주거로 주목을 받았다. 분양가는 3.3㎡당 평균 2800만원이 책정됐다. 2채의 펜트하우스(공급면적 322㎡)는 34억원을 훌쩍 넘겼다.

이 고가 아파트에는 저소득층을 위한 물량이 따로 마련됐다. 도시환경정비사업 형태로 추진돼 단지 내 임대주택을 의무적으로 지어야 했던 것이다. 용적률의 일부인 총 가구수의 12%(77가구)가 임대주택으로 공급됐다.


처음 이 단지가 관심사로 떠오른 것은 사업주체가 103동 4~10층에만 임대물량을 몰아넣고 입구와 엘리베이터를 따로 설치하면서다. 분양주택 입주자와 차별 논란을 부른 것이다. 가사도우미, 헬스케어, 헬스트레이닝, 골프ㆍ요가강습 등의 서비스는 물론 커뮤니티센터도 사용할 수 없었다. 여론이 악화되자 시공사인 GS건설은 엘리베이터를 보강하고 일정 기간 커뮤니티시설을 개방하기로 검토하면서 사태는 마무리되는 듯 했다.

하지만 임대주택 입주가 늦어지며 이 기간 해당 시설과 서비스를 사용한 임대주택 주민은 사실상 전무했다. 일반 계약자들의 입주가 시작된 시점은 2012년 9월인 반면 입주대상자 선정 등의 일정에 따라 임대주택에는 주상복합 입주자대표회의가 결성된 2013년 6월 이후 본격화돼서다.


여기에 시공사가 입주 후 서비스 차원에서 일부 편의시설 이용비를 지원하던 것이 끊길 시점이 다가오자 임대 주민들은 서울시에 조정을 요청했다. 전액 유료 사용으로 전환되는 만큼 동등하게 비용을 내고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달라는 취지다. 103동 저층 임대에 거주하고 있는 김정환(가명)씨는 "입주 초기 시공사가 약속했던 피트니스시설 이용은 입주자대표회의 측의 반대로 불가능했다"며 "심지어 사용료를 내겠다고 해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태도는 이해하기 어려운 차별"이라고 털어놨다.


음료를 마시는 카페는 분양자 전용 카드키가 있어야 들어갈 수 있고 게스트룸과 키즈룸은 임대 입주민에게 개방하지 않는 것도 문제로 제기됐다. 메세나폴리스만의 특화 서비스로 알려진 가사도우미 비용 역시 시공사에서 절반을 지원하고 있으나 임대 입주민에게는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대해 입주자대표회의는 임대 입주민의 불만이 있을 수 있지만 계약과 재산상의 문제여서 간단하게 해결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분양 계약자들은 자이안센터와 게스트룸 등 커뮤니티시설 건립비를 분양가로 부담했고 서울시에 소유권이 넘어간 임대주택은 관련 비용부담이 제외돼 있어 사용 권한이 없다는 점에서다.


관리사무소에서도 메세나폴리스 분양 입주자들은 최소 15억원 이상 분양가를 지불했기에 이들의 의견을 더 존중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사용료를 내서라도고 편의시설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임대주택 입주민을 막는 부분에 대해서는 '사생활 보호'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메세나폴리스 임대주택을 관리하는 서울시와 SH공사는 물론 관할 자치구인 마포구도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입주자대표회의가 결성돼 재산권을 행사하고 있는 데다 임대주택 매입 당시 커뮤니티시설 등 편의시설 사용권은 계약서에서 명백하게 빠져 있어서다. 서울시 관계자는 "입주자대표회의 입장이 완강해 협의조차 쉽지 않다"며 "그렇다고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약을 다시 하자니 임대주택 임대료와 임대보증금이 올라가 임대주택 입주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어 조심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메세나폴리스와 달리 재개발과 재건축 단지 내 시프트에 입주하면 커뮤니티시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고 SH공사 시프트 콜센터는 안내하고 있다. 분양과 임대 아파트간 차별을 줄이기 위해 '소셜믹스'를 확대하려는 박원순 시장의 해법에 관심이 모아진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