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베 '과거사인식 계승' 답하며 '식민지배·침략' 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2초

[아시아경제 전슬기 기자]아베 일본 총리가 과거사에 관해 역대 내각의 인식을 계승한다는 뜻을 밝히면서 의도적으로 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을 인정한 부분을 제외하는 발언을 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31일 열린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역사 인식에 관해 "우리나라(일본)는 일찍이 많은 나라, 특히 아시아 국가의 국민에게 많은 손해와 고통을 안겨줬다. 그런 인식에 대해서는 아베 내각도 마찬가지며 그간의 역대 내각의 방침을 계속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을 포함해서 무라야마 담화를 인정하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의심하는 이들이 있으므로 확실히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는 민주당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의원의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


아베 총리의 답변은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의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한 무라야먀(村山) 담화에서 '식민지배와 침략으로'라는 대목을 뺀 것이다. 그는 답변 말미에 "침략이나 식민지배를 부인한 적은 한 번도 없다"고 강조하고 "역사 인식은 역사가에게 맡겨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오카다 의원은 아베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을 부정하지 않는다고 하면서도 무라야마 담화에서 이 부분을 빼고 말하는 것이 이와 다른 뜻을 지녔다는 의심을 낳는다고 지적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식민지배나 침략을 부인한 적은 없다"고 같은 답변을 했다.


오카다 의원은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에 관한 부분을 의도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감을 표명하고 관련 내용을 계속 질의했으나 아베 총리는 역시 두 번에 걸쳐 같은 답변을 반복했다.


이날 발언은 아베 총리가 한국, 중국, 미국 등 국제사회의 반발을 의식해 역대 정권의 과거사 인식을 계승한다는 뜻을 표방하고 있지만, 전쟁 중 일본의 행위를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으로 규정하는 것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드러내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슬기 기자 sgj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