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현장에서]학교도 외면한 역사 교과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아시아경제 김지은 기자] 주말 내내 전국은 '고교 역사 교과서'로 떠들썩했다. 지난 3일 오전까지만 해도 전국 고교에서 교학사 교과서를 채택한 학교가 14개교였지만 6일 오전 현재 최종 결정을 앞둔 전주 상산고를 제외하고 모두 철회했다. 이 과정에서 많은 학부모, 학생, 교사들과 시민단체들의 목소리가 학교 주변과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사실 이같은 결과는 이미 예상된 것이었다. 지난해 교육부는 애초부터 수많은 사실오류·표절 등으로 인해 무더기로 비판을 받은 부실교과서를 '살려내려' 안간힘을 썼다. 일정에 차질을 빚으면서까지, 또 별 시비가 없었던 다른 교과서들에 대해서까지 수정·보완토록 했다. 집필진이 거부한 내용에 대해선 수정명령까지 내리면서 교학사 교과서를 최종승인했다. 이를 지켜보는 이들이 안스러움이 느낄 정도였다.

그 과정에서 교학사의 수많은 오류와 표절, 그리고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서술 등이 역사·시민단체, 국회의원에 의해 낱낱이 파헤쳐졌다. 게다가 최종승인 후에도 수많은 오류가 지적돼 "교학사 교과서로 공부하면 수능, 한국사 검정시험 등을 제대로 보기 어렵다"는 역사단체들의 지적이 나왔다. 학생과 학부모들이 교학사 교과서를 거부할 것은 불보듯 뻔한 일이었던 것이다.


결국 우려는 현실로 나타났다.


이번 교과서 논란으로부터 우리 사회가 교훈을 얻어야 한다면 그 첫 번째는 누구보다 교육부에게 돌아가야 할 것이다. 학생과 교사, 학부모들의 최소한의 '역사 의식'을 무시하고 행정력으로 밀어붙이면 될 것이라는 안이한 인식은 어떤 댓가를 치르는지를 스스로 깨쳐야 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게는 역사관의 기본에 대해 성찰할 계기가 됐다. 역사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해석은 필요하다. 이른바 진보적 사관이든 보수적 사관이든 모두 좋다. 그러나 어느 쪽이든 '기본' 혹은 '최소한'의 역사관에 대한 합의는 존중돼야 한다. 그것이 애초에 겪을 필요가 없었던 이번 교과서 파동으로부터 우리가 얻을 값진 교훈이다.






김지은 기자 muse86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