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 사임한 이석채 전 KT 회장의 후임 최고경영자(CEO)가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으로 사실상 낙점되면서 내년 이동통신 3사의 경쟁 구도에 새로운 막이 올랐다. 호평 속 연임에 성공한 하성민 SK텔레콤 대표,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에 맞서 어떤 리더십을 보여줄지 관심을 끈다.
무엇보다도 CEO는 실적으로 말한다. 하성민 SK텔레콤 대표는 올해 안정적 실적과 ‘행복동행’ 등 경영성과로 부회장 승진설까지 거론됐고,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도 거뜬히 연임에 성공했다. 올해 들어 매달 번호이동 가입자 순증을 유지하는 등 LTE 시장의 선전 덕에 실적 흑자전환은 물론 내년 목표까지 상향 조정했고, LG그룹 차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하 대표가 그룹 내에서 두루 전문경영인 경험을 쌓은 정통 ‘SK맨’인 반면 이 부회장은 이석채 전 KT 회장과 비슷하게 정보통신부 장관을 역임한 관료 출신이다. 황 전 사장은 이들과 달리 KT 내부 출신도, 엘리트 통신관료 출신도 아니다. 역대 KT CEO 중에서도 황 전 사장과 같은 이력을 가진 인물은 없었다. 때문에 통신업계에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바람을 몰고 올 것이라는 기대도 나온다.
때문에 황 전 사장의 최우선 과제는 KT의 유무선 사업분야 경쟁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그룹의 핵심인 통신분야의 실적이 저조한 데다 CEO리스크까지 겹치면서 실적은 3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고 주가도 하락했다. 가입자 수와 사업이익 지표인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도 ‘빨간불’이다. 이통 3사는 당장 내년부터 광대역 LTE의 전국 서비스와 함께 LTE-A 고도화 등을 놓고 다시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된다. 이미 KT는 주파수 정책에서 첫 단추를 잘못 끼운 탓에 LTE-A도 한발 늦게 시작했다. 턱밑까지 추격해 온 LG유플러스에 LTE 시장에서 역전당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제패한 경험이 가장 큰 무기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의 유망한 인재들이 영입될 경우 양 사가 새로운 협력관계를 맺을 것으로 본다. 다만 이 경우 이 전 회장 때처럼 외부에서 영입된 직원들로 인해 속칭 ‘원래 KT 대 올레 KT’ 같은 자기사람 심기 논란이 벌어졌던 전철을 밟지 않도록 해야 하며, 시민단체와 KT 새 노조 등이 제기한 것처럼 ‘KT의 삼성전자 종속’ 논란 등을 벗어나는 것도 과제다.
김영식 기자 gra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