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건설업 인식 명암…복지·경제발전↑ vs 환경기여도 ↓

시계아이콘01분 2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내건설업이 국가 전반에 미친 기여도 분석결과 발표


건설업 인식 명암…복지·경제발전↑ vs 환경기여도 ↓ 건설산업이 국민의 복지증진·경제발전·대외적 이미지 제고·안전향상 등에는 크게 기여했지만 환경 분야 기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책연구센터가 도출한 '건설산업 국가기여도'다.
AD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건설산업이 국민의 복지증진·경제발전·대외적 이미지 제고·안전향상 등에는 크게 기여했지만 환경 분야 기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책연구센터는 건설산업의 국가 전반에 미친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건설부문의 국가기여도란 건설산업이 국가발전과 국민복지 증진에 얼마나 공헌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건설산업이 국가와 국민에 미치는 유익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연구원은 건설업이 사회기반시설 구축 등을 통해 국가경제 성장엔진 역할을 했지만 최근 '토건족·삽질' 등으로 표현되며 이미지가 떨어지고 건설부문 투자가 축소되기에 이르자 건설업에 대한 인식제고 등을 위해 이 지표를 만들었다.


이번 설문조사는 일반 국민 450명과 건설분야 종사자 245명을 대상으로 치러졌다. 그 결과 일반 국민과 건설기술자 모두 건설산업이 '국민 삶의 복지(68.9%)'와 '경제발전(73.7%)', '국민안전(61.7%)', '대외적 이미지(67.9%)' 등에서 높게 기여했다고 생각했다. 반면 '환경(39.6%)' 분야에서는 낮게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건설 종사자가 일반 국민보다 건설산업의 기여도에 대해 9%포인트가량 더 긍정적인 것으로 응답해 인식도 수준에 차이를 보였다.


건설산업의 국가기여도는 20% 이하일 경우 매우 낮음, 21~40%는 낮음, 41~60% 보통, 61~80% 높음, 81% 이상은 높음으로 구분된다.


건설업은 또 사회기반시설 건설과 해외건설시장 진출 등으로 60년간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해 온 것으로 조사됐다. 2010년 산업연관효과 분석 결과 건설산업의 고용유발계수는 12.123으로 28개 산업 중 5위를 차지했다. 생산유발계수는 2.104로 8위를 기록해 제조업(고용유발 6.740, 생산유발 2.071)과 서비스업(고용유발 10.531, 생산유발 1.833) 평균보다 높은 고용·생산 유발 효과를 보였다.


이외 건설부문 수주·투자와 국민총생산(GDP)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약 0.95로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상관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관련성이 있고 -1에 가까우면 그 반대다. 건설투자변화율과 건설업성장률 간 상관계수는 약 0.88로 건설투자증가가 건설업성장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파악됐다.


교통시설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결과도 나왔다. 어떤 시설물 확충을 더 확충해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일반 국민 92.4%와 건설종사자 80.4%가 교통시설 분야를 꼽았다. 주거·상업시설에 관해서는 건설종사자(16.3%)보다 약 4배 많은 일반 국민(61.8%)이 시설확충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연구원은 이에 대해 건설종사자가 양적 확충이라는 관점으로 평가를 하고 있는 반면 일반 국민은 층간소음, 쾌적성, 에너지효율 등 질적 측면에서 건설기여도를 평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반면 건설업은 환경피해, 교통혼잡 등을 일으킨 부정적인 면도 있었다. 설문조사 대상자들이 생각한 건설업의 환경 분야 기여도는 39.6%로 낮았다. 녹지보호, 현장 소음·진동, 문화유산 보호 등의 측면에서 기여도가 낮았던 것으로 해석된다.


오은호 건설정책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은 "건설업의 부정적 측면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의 양적인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로부터 이용만족도 향상, 에너지효율 향상 등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질적인 투자로 전환·집중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연구원은 교통, 도시·건축, 수자원, 에너지·환경 등 SOC 분야별로 보다 상세한 국가기여도를 도출하고 분야별 확충 수요 분석과 질적 투자방향을 제시하는 2단계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