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3국감]쌍용차 사장 "주간연속2교대제 2015년 중반 께 실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0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김혜민 기자]국회 국정감사 시기마다 '정치적 외풍' 논란에 휩싸이는 쌍용자동차가 이르면 오는 2015년 중반 께 주간연속2교대제를 실시키로 했다. 다만 시기를 앞당기는 것보다 안정적 운영이 중요한 만큼, 실질 임금 확보 등이 걸림돌이다.


이유일 쌍용차 사장은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의 고용노동부 국감에 증인으로 참석해 "내년 단체 협상 때 주간연속2교대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2015년 중반 경부터 실시할 수 있도록 노사가 타협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올해 목표는 14만9300대로 9월까지 약 10만9000대를 생산했다"며 "12월 중순 경 내년 사업계획이 확정되면 필요한 인원, 시기 등은 노조와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규 채용계획에 해고자 복직 내용이 포함되느냐는 질문에는 "어떤 사람을 어떻게 채용할 지는 계획된 바 없다"며 "정리해고자에 대해서는 해고무효소송확인을 진행 중"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1심 끝나고 2심에 계류 중이므로 사업부 판단에 따르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 사장은 희망퇴직자 복직에 대한 태스크포스팀(TFT) 구성과 관련 "TFT를 구성했고 앞으로 몇명이 필요한지는 TFT에서 정할 것"이라며 "8.6합의에 명시된 희망퇴직자 중심으로 합의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 사장과 함께 증인으로 채택된 김규한 쌍용차 노조위원장은 "주간연속2교대제 도입 시기를 2015년으로 논의하고 있지만, 타당성 있는 목표를 잡는다면 더 당길 수 있는 방안을 사측과 논의하겠다"며 "빨리할 수록 좋지만 일단 안정화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임단협은 3월 중 실시할 예정"이라며 "주간연속 2교대를 위해서는 실질임금 확보 등 난해한 부분이 있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희망퇴직자 복직 이슈와 관련, 무조건적인 정치권의 요구에 부정적인 입장도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1900명의 희망퇴직자를 다 받아야 문제가 해결되는 지 반문하고 싶다"며 "무턱대고 받아야 한다는 논리보다 기업의 존속을 고려해 생각해야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무급자와 기존 작업자 간 갈등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요구들이 100% 관철될 수 없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쌍용차 관계자가 국회 증인석에 선 것은 지난해 청문회와 국감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다. 이 사장은 지난해 9월 국감에 앞서 실시된 청문회에 출석했고, 국감 때는 쌍용차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마힌드라자동차의 파완 고엔카 사장(쌍용차 이사회 의장)이 증인으로 참석했다. 당시 '예, 아니오'로만 답하게 하는 등 면박식으로 문답을 진행하며 "정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희생양", "정치쇼" 등이라는 지적이 일었다.


특히 올해 국감의 경우, 질의 내용이 지난해 국회 '쌍용차 정리해고 청문회'와 동일해 이 같은 논란은 가중되는 모습이다. 앞서 이 사장이 청문회 증인으로 참석해 인력구조조정과 관련된 여러 의혹에 대해 해명하고 계획을 밝혔기 때문이다.


올 들어 국내 5개 완성차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전년 대비 생산 및 판매량을 늘리며 '경영정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쌍용차가 또 다시 정치적 외풍에 휘말리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지난 2009년 판매량이 3만5000대선까지 떨어졌던 쌍용차는 올 들어 두 자릿수 신장을 이어가며 올해 14만9300대 판매 달성을 앞두고 있다. 이에 힘입어 지난 3월 무급휴직자 455명을 복직시키고 5월부터 3라인 1개라인에서 주야 2교대제를 실시하고 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