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돌발 변수' 채동욱…국정원 수사부터 사퇴까지

시계아이콘01분 4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전슬기 기자] 김한길 민주당 대표의 회담 수용으로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의 3자 회담이 16일 예정대로 열린다. 하지만 3자 회담 테이블엔 '채동욱 검찰총장의 사의 표명'이 돌발변수로 올라갈 전망이다.


김 대표는 15일 서울광장 천막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회담의 주요 의제는 국정원 등 국가권력기관의 정치개입의 폐해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검찰총장의 사퇴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다" 면서 "이에 대한 분명한 답변을 대통령이 준비해 주셔야 할 것"이라고 청와대를 압박했다. 핵심의제로 채 총장의 사퇴가 다뤄줘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민주당은 이번 채 총장의 사퇴를 청와대-국정원-법무부, 삼각 커넥션의 '검찰 흔들기'로 보고 있다. 검찰의 국정원 선거개입 수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나서서 사상 초유의 검찰총장 감찰 카드를 던진 것은 청와대의 지시 없인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김 대표도 "이번에 검찰총장을 사퇴시킨 반법치주의적 행태는 대통령의 재가 없이는 있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또한 국정원 개혁이 논의되고 있는 시점에 뜬금없이 터져 나온 채 총장의 혼외아들 의혹 보도는 정권과 보수언론의 합작이라 보고 있다. 대선개입 수사로 채 총장을 껄끄러워했던 국정원이 취재 과정에 조력자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이러한 청와대-법무부-국정원의 배후설이 제기되는 이면에는 취임 이후 줄곧 이어져 온 채 총장과 현 정권의 불편한 관계가 존재한다.


채 총장은 그간 국정원 의혹 사건과 관련해 "국민적 관심이 크고 국정원과 경찰 등 정보수사기관이 관련돼 있는 만큼 한 치의 의혹도 남기지 않아야 한다"며 "비상한 각오로 수사하라"고 강조해 왔다.


특히 채 총장이 여권과 간극이 생긴 것은 지난 6월 검찰이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불구속기소하면서다. 당시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은 원 전 원장 등에 대해 선거법을 적용해 구속기소하기로 방침을 정했으나 황 장관 및 청와대는 이견을 보였다. 선거법을 적용할 경우 현 정권 태생 배경에 국정원과 경찰 등 국가정보수사기관이 조직적으로 움직였다고 인정하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검찰은 결국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을 구속하지는 않았지만 당초 의지대로 선거법 위반 혐의를 적용하는 데에는 성공했다. 이에 여권에서는 '채 총장을 손봐야 한다'는 의견이 흘러나왔다고 한다. 지난달 초 허태열 전 비서실장과 곽상도 전 민정수석이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과 홍경식 민정수석으로 교체된 배경엔 채 총장을 몰아내고 검찰 조직을 장악하려는 의도라는 게 정치권의 해석이다.


실제로 조선일보가 지난 6일 채 총장의 혼외아들 첫 보도를 할 때부터 검찰 안팎에서는 사퇴 압박용이라는 소문이 제기됐었다. 황 장관은 지난 7~8일 채 총장을 직접 만나 사퇴할 것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통령 민정 수석비서관실에서도 전화로 "공직 기강 감찰을 받으라"고 권유했다고도 알려지고 있다. 더군다나 채 총장이 12일 정정보도 청구 소송을 내겠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황 장관의 감찰 지시가 내려져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일각의 의혹은 더욱 증폭되는 양상이다.


청와대는 일단 채 총장의 사퇴와 선긋기에 나서고 있다. 이번 사태는 정치적 쟁점이 아니라 기본적으로 '고위공직자의 윤리 문제'라는 것이다.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이 15일 '혼외아들 의혹'이 제기된 지 1주일 만에 채 총장이 전격 사의를 표명한 것과 관련, "사표수리를 하지 않았다. 진실규명이 우선"이라고 밝힌 것도 배후설이 확산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다.


따라서 3자 회담에서 김 대표는 채 총장이 사의를 표명하게 된 과정에 대해 강도 높게 문제를 제기하겠지만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공직자 개인의 문제"라고 일축하며 진상 규명이 우선이란 입장을 되풀이할 공산이 커 보인다.




전슬기 기자 sgj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