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 구속후 그룹원로 중심 비상경영 나섰지만 답보상태
태양광 중동 사업 안갯속…김동관 실장 구원투수로 나서
[아시아경제 임선태 기자]지난해 8월16일 김승연 회장 법정구속 후 총수없이 1년의 세월을 보낸 한화그룹. 그룹 원로들을 중심으로 한 비상경영 체제를 가동 중이지만 미래 비전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추가수주를 예상했던 중동 프로젝트는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고 미래 신성장 동력인 태양광 사업은 글로벌 불황에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한화그룹이 김 회장 부재를 가장 절실히 느끼고 있는 분야는 중동 사업이다.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프로젝트를 발판으로 제 2의 중동 붐을 일으키겠다는 한화그룹이 추가 사업 수주에 나서기 위해서는 김 회장의 중동 네트워크ㆍ추진력ㆍ결단력이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국내기업의 단일 해외사업 수주 규모로는 최대 규모인 80억달러로 진행된 비스마야 신도시 프로젝트는 김 회장의 이른바 '총수 리더십'이 사실상 수주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국가적 이익ㆍ상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관련 회의를 주관하는 등 프로젝트가 최종 수주될 때까지 이라크 정부 측과 친분을 직접 쌓아온 김 회장은 수주 이후에도 현지에 야전 숙소를 마련하는 등 추가 사업에 대한 강한 집념을 드러냈다.
이후 김 회장은 지난해 7월 누리 알말리키 이라크 총리와 추가 사업 논의를 위해 출국했지만 이후 법정구속되면서 한화그룹과 이라크 간 추가 사업 협력 소식은 현재까지 전무하다. 당시 출국 직전 김 회장은 본지 기자와 만나 "태양광사업 규모와 정유사업 수주 확정 등을 위해 이라크 총리와 회동할 예정"이라며 "태양광 사업은 수주 여부와 규모 등을 확정지을 예정이며, 정유 부문은 이라크 쪽에서 추가 협의를 제안해 왔다"고 추가사업 수주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한화그룹의 미래 신성장 동력인 태양광 사업도 김 회장 구속 후 큰 전환점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 글로벌 1위 태양광 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인수한 독일 큐셀은 한화그룹에 편입된 후 1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적자 상태다. 유럽 재정위기 이후 태양광 수요부진과 공급과잉 지속으로 업황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7월16일 1심 결심공판 최후변론에서 "큐셀 인수를 통한 태양광 사업 글로벌화로 국가경쟁력 발전에 이바지하겠다"고 사업 성공 의지를 드러낸 김 회장의 빈자리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업황 부진과 수직 계열화 완성에 따른 중장기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적재적소에 필요한 경영판단이 (김 회장의 부재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언급했다.
한편 1심에서 징역 4년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던 김 회장은 항소심에서 징역 3년으로 감형됐지만 상고했다. 구속 후 조울증과 호흡곤란 등의 증세가 악화된 김 회장은 지난 1월 구속집행 정지를 신청, 병원에서 집중치료를 받고 있다. 법원은 김 회장에 대해 올해 3월, 5월에 이어 이달 1일에도 구속집행정지를 한 차례 더 연장했다.
임선태 기자 neojwalk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