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금 잘 내자던 신격호…이번에도 사정권 칼날 피해 갈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1초

세금 잘 내자던 신격호…이번에도 사정권 칼날 피해 갈까
AD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은 평소 임직원들에게 '기업은 경영을 잘 해서 세금을 많이(잘) 내는 것이 애국하는 길'이라고 자주 강조한다. 그의 지론에 대한 결과는 2009년 8월 롯데그룹의 핵심 계열사인 롯데쇼핑롯데제과에 대한 국세청의 정기세무조사에서 입증됐다.

당시 국세청은 11월 중순까지 60일간 진행된 세무조사에서 롯데쇼핑의 접대비 처리 문제와 매출액의 귀속 시기 산정 등에 대해 집중 점검에 나섰다. 당시 신 회장의 지분 증여과정에서의 변칙 증여와 세금탈루에 대한 집중조사는 롯데캐슬프라자와 관련된 120여억원의 추징금을 납부하는 것으로 싱겁게(?) 끝이 났다.


국세청이 세무조사에 나설 때마다 수백억, 수천억원의 세금을 추징하는 것에 미뤄 롯데에 대한 추징금은 미미한 규모다. 롯데가 세금을 잘 낸 것이다.

그로부터 5년 뒤인 지난 16일, 국세청 조사 4국이 롯데쇼핑에 대한 세무조사를 전격 착수하면서 '세금납부가 곧 애국'이라는 신 총괄회장의 지론이 지속적으로 실천됐는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2월 새 정부 출범과 동시에 롯데호텔을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벌인 후 6개월도 안 된 시점이다.


시장은 신 총괄회장이 매번 사정권의 칼날을 무사히 피해갔지만 이번 표적조사는 넘어가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세청은 실질적 지주사인 롯데쇼핑과 계열사 간의 내부거래를 통한 탈세 및 롯데마트가 하청업체와 거래하면서 발생한 세금 탈루를 집중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롯데쇼핑의 세무조사에 조사4국이 직접 나섰다는 점이다. 조사4국은 정기 일반 세무조사가 아닌 특정한 혐의가 있을 경우에 기업 총수들의 비자금 조성이나 탈세 등의 세무조사에 나서는 특별팀이다. 조사 4국이 '손 대면 반드시 성과가 나오고 사정으로 이어진다'는 말이 나올 정도. 실제 이명박 전 대통령 친정기업인 현대건설 특별세무조사와 CJ그룹 비자금 사건 역시 조사4국의 작품이다.


지난 정권에서 특혜논란을 빚었던 롯데그룹으로서는 그 동안 공공연히 정권이 바뀌면 사정권 제 1순위로 꼽혀 왔던만큼 '올 것이 왔다'라는 분위기다.


실제 롯데그룹은 신 총괄회장의 숙원사업인 롯데월드타워 사업의 허가를 이명박 대통령 재임기간인 2009년에 받았다. 123층짜리 건물(555m)로 인근 서울공항에서 비행기 이ㆍ착륙때 위험하다는 이유로 반대한 것을 활주로 각도를 바꾸며 허가를 내줘 특혜논란을 야기했다.


숙원사업인 맥주시장 진출도 해 역시 정권수혜라는 얘기가 흘러나왔다.


롯데 관계자는 "조사 4국이 정기세무조사도 병행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고는 알고 있지만 요즘 같은 상황에서는 특별조사 성격이 더 강할 수 있다고 본다"며 "그 동안 사정 1순위라는 소문이 돌았기 때문에 당황스러운 한편 걱정스러운 것도 사실"이라고 우려했다.


시장에서도 사정당국의 칼 끝이 재계로 정조준된 이후 SK, 한화, CJ 등 줄줄이 총수 일가를 겨냥한 만큼 롯데 역시 지난 2009년처럼 쉽게 끝나지는 않을 것 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롯데쇼핑이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오너 일가가 최대 지분을 갖고 있는 실질적 지주회사라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재계 관계자는 "털어서 먼지 안나는 곳이 어디 있냐"라며 "그 동안 CJ 다음은 L사와 H사라는 얘기가 나왔던데다 조사4국이 직접 나선 만큼 롯데가 이번 조사에서 그냥 넘어가기는 힘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롯데쇼핑은 롯데백화점ㆍ롯데마트ㆍ롯데슈퍼ㆍ롯데시네마의 4개 사업 부문으로 나뉘어 있다. 롯데그룹 전체 매출의 30%(연결 재무제표 기준)를 책임지는 주력 계열사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