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아시아나機 반파]국토부 "인터넷 떠도는 조종사-관제탑 교신, 확인불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아시아나機 반파]국토부 "인터넷 떠도는 조종사-관제탑 교신, 확인불가"
AD


[아시아경제 박소연 기자]아시아나항공의 충돌사고 전후 상황으로 보이는 조종사와 관제탑간 교신내용의 진위 여부가 미궁에 빠져있다.

국토교통부는 7일 오전 3시20분(한국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사고와 관련, 인터넷 상에 떠도는 조종사와 관제탑 간의 교신내용 녹취에 대해 "관제탑과 조종사간의 교신 내용인지 아닌지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다.


최정호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오후 5시50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이 사고와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교신 내용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파악 중에 있다. 지금 인터넷 상을 통해서 그것이 보도가 되고 있지만, 그것이 정확한 관제사와 조종사간의 통신인지 정확한 확인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교신내용이 맞다 하더라도) 시점이 랜딩 후에 상황인지, 아니면 그 전인지에 대해서도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최 실장은 "조종사와 관제사간에 어떤 교신이 이뤄졌고, 고도가 얼마인지 등은 초단위로 잘라서 봐야 정확하게 나온다. 실제 어떤 교신이 이루어졌고, 그때 고도가 얼마인지, 그때 어떤 상황인지 등에 대해서 정확하게 초단위로 잘라서 봐야 정확하게 나온다. 지금 그런 상황이 아니다.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최 실장은 "(미국 조사단에서) 어느 정도 우리에게 언질을 해 줄 수 있을지 봐야 하고, 사고 조사에 대한 확실한 결과가 나와야 한다"며 사고 경위파악에 대해서는 좀더 시간을 갖고 기다려줄 것을 당부했다. 또 미국과 우리 정부간 사고조사 내용에 대해 합의가 돼야 한다는 점도 지적했다. 최 실장은 "사고조사가 하루 만에 뚝딱 나오지 않는다. 빠른 판단으로 항공기 사고원인이 밝혀지지 않는다. 우리 입장에서 조사에 임해서 객관적으로 전문적인 조사결과 나오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에서 이 시점에서 가장 신경을 쓰는 분야가 피해를 당한 분들에게 대한 빠른 치료와 대책이다 아울러 가족들에게 신속하게 그 분들의 안위에 대한 정보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지에 가기를 원하는 분들이 합류하도록 하기 위해 아시아나가 미국 중국 한국 등에 대책본부를 구성해 운영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망·중상자에 대해서는 본인에게 1명, 가족에게 1명 2명의 전담자를 지원하고, 경상자에 대해서도 1명의 전담요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아시아나에서 400여명의 지원팀을 구성해 운영중"이라고 말했다.


또 "(피해자 관련) 가족은 오후 5시에 2명이 현지로 출발을 했다. 나머지 미국 현장으로 가기를 원하는 가족들은 아직 파악 중에 있다. 수요가 많을 경우 특별기를 띄워 인원이 많이 않을 경우에도 개별적으로 원하는 시간이 있으면 정기편을 이용해 현장에 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최 실장은 "77명의 한국인 탑승객 중 44명의 승객이 부상을 당해 병원에 있는 것으로 현지 공관을 통해 파악했다. 병원에 입원 하신 분들의 상태에 대해서는 외교부와 공조로 파악 중에 있다. 중상자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박소연 기자 mus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