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조목인 기자]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발생한 아시아나 여객기 착륙사고로 2명이 목숨을 잃었지만 과거의 비슷한 사고에 비해 피해 규모가 작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달라진 여객기 설계 방식과 화재 진압 방식의 변화 등이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일조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 4월 아일랜드 저가항공사 라이언에어의 보잉737 여객기가 인도네시아 발리의 덴파사르 공항에서 착륙 사고를 냈지만 승객 전원이 무사했다.
2005년에는 캐나다 토론토 피어슨 국제공항에서 에어 프랑스 소속 A340 제트 여객기가 착륙도중 충돌 사고를 일으켰으나 생존자 309명이 모두 생존했다. 이는 여객기 좌석이 방염재료로 제작되고 단단하게 기체제 조립돼 충돌 사고가 일어나도 탑승객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시간과 공간을 마련해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CNN방송은 사고 기종인 보잉777은 물론 여객기 대부분이 전체 탈출구 가운데 절반을 열 수 없는 상황에도 90초만에 탑승객 전원이 탈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USA투데이 역시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90초 안에 항공기에서 탈출할 수 있는지가 생사를 가르는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승무원들은 평소에 비상훈련을 받고 있지만 일반 탑승객들은 그렇지 못하다. 따라서 기내의 휴대용 가방을 신경쓰지 않고 최대한 빨리 탈출하도록 승객들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함께 탑승객들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도 다시 한 번 대두되고 있다. CNN은 여객기 탑승객들도 탈출구의 정확한 위치를 알고 비상시 짐을 챙기는 행동을 지양하고 승무원의 지시에 따라야할 책임이 있다고 설명했다.
조목인 기자 cmi0724@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