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장단기 금리차 축소..인플레 우려 감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미국의 장단기 국채 금리차(스프레드)가 크지 않아 인플레 우려가 크지 않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 10년물 국채와 30년물 국채 간의 금리차가 17개월 만의 최저 수준인 1%포인트 수준에 머물러 있다.

통상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인플레 기대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인플레 기대감이 커지면 장단기 금리차가 벌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올해 10년물과 30년물 금리차는 지난 4월1일 올해 최고치인 1.26%포인트를 기록한 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0년물과 30년물 금리차는 지난달 24일 0.97%포인트까지 하락해 지난해 1월3일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후에는 1%포인트 선에서 큰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물가가 오르면 가격이 상승하는 구조로 이뤄진 물가 연동 채권(TIPS) 수익률도 올해 -7.9%를 기록 중이다.


퍼거슨 웰스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마크 폴빈치 채권 대표는 "미 경제가 인플레를 가속화시킬 만큼 빠르게 성장하지 않고 있다"며 "TIPS를 매수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찰스 슈왑의 케이시 존스 채권 투자전략가도 "투자자들이 3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너무 낮다며 매수하지 말 것"을 주문했다.


소비자의 인플레 기대 심리를 나타내는 10년물 국채와 10년물 TIPS 간의 금리차도 2.03%포인트 수준에서 큰 변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 10년물 국채와 TIPS 간 금리차는 올해 초 2.6%포인트 선까지 상승했으나 3월 중순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소비자들의 인플레 기대 심리가 약화되고 있다는 뜻이다. 10년물 국채와 TIPS 간 금리차는 지난 10년간 평균 2.21%를 기록했다.


역사적으로 10년물과 30년물 금리차는 2000년 정보기술(IT) 거품이 붕괴된 직후에는 장단기 금리가 역전돼 10년물과 30년물 금리차가 마이너스로 떨어지기도 했다.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 붕괴 직후에도 금리차는 0.2%포인트 수준까지 줄었고 이후 경기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면서 2010년 11월에는 1.6%포인트 수준에 근접하기도 했다.




박병희 기자 nut@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