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외환시장의 조삼모사(朝三暮四) 유로 강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각국 중앙은행들이 양적완화를 철회하려고 검토함에 따라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안전한 유로에 다시 눈을 돌리고 있다. 유로는 이에 따라 폭풍우속의 피난항으로 다시 떠오른 것이다.


지난 2~3년 동안 유로존(유로 사용 17개국) 경제악화와 유로 통화동맹의 장기 생존능력에 대한 의구심 탓에 투매 대상으로 지목된 유로는 이제는 투자대상으로 탈바꿈한 것이다.외환시장의 조삼모사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6일(현지시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를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이 양적완화를 중단할 조짐을 보임에 따라 일본 국채에서부터 신흥시장 채권,미국 국채에 이르기까지 시장이 요동을 쳤지만 유로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유로는 지난 4주 사이에 달러화에 대해 4% 정도 오르면서 14일에는 달러당 1.3345유로로 4개월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품선물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유로 하락에 베팅한 포지션은 지난 2주간 90%나 감소했다. 유럽의 낮은 성장률, 급등하는 실업률, 남유럽 국가의 과다한 국가부채에도 투자자들은 유로는 보유고 통화라는 지위와 위기우려 감소 등으로 안전한 투자대상으로 다시 각광받고 있다고 WSJ는 설명했다.


캐리 트레이드 투자금 회수도 유로 강세에 한몫 하고 있다. 그동안 외환시장 투자자들은 유로를 빌려 판뒤 그 자금으로 고수익을 내는 달러,호주달러, 멕시코 채권 등에 투자해 돈을 버는 캐리 트레이드에 열중했지만 금리전망이 불확실해지자 이 자금을 회수하면서 유로 강세 장을 연출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도 유로가 강세를 띨 것이라는 데 베팅하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다. 이들은 우선, 장기 침체중인 유로존 경제가 바닥을 찍었을 지도도 모른다며 유로 강세에 무게를 싣고 있다.이들은 4월 산업생산이 0.4% 증가하면서 3개월 연속 늘어난 것이나 유럽 중앙은행이 지난 6일 유로존의 성장률이 올해는 -0.6%로 보았지만 내년 전망치는 1.1%로 종전 전망치보다 0.1%포인트 올린 것을 근거로 삼고 있다


둘째는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 경고를 하고 있는 가운데 유럽의 경제지표가 좋아져 유럽연합이 통화완화를 할 가능성을 낮춘 점이 유로가 달러나 엔에 대해 강세를 유지하는 이유라고 설명하고 있다. 마리오 드라기 ECB총재는 지난 6일 통화정책회의후 간담회에서 “마이너스 실질금리를 도입하지 않겠다”고 밝혀 유로상승에 탄력을 불어넣었다.
셋째는 유로가 지난 2월 키프로스 구제금융 과 이탈리아 총선 등 일련의 사건에도 가치를 유지했다는 데 주목한다. 3월 말 이탈리아 총선후 유로당 1.28달러까지 밀렸지만 2008년 금융위기 위기 이후 유로는 1.20달러나 그 밑으로도 추락한 선례에 비하면 대단히 양호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장이 안정되고 캐리트레이드가 재개되면 유로는 다시 하락할 것이라는 관측은 여전히 유로의 약점으로 남는다.





박희준 기자 jacklondon@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희준 기자 jacklondon@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