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7년까지 제대군인 5만개 일자리 만들어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오는 2017년까지 제대군인 일자리 5만개가 만들어진다. 2012년 현재 제대군인 적합 일자리는 2만891개인데 이를 두 배 가까이 늘리기로 했다. 정홍원 국무총리는 14일 제7회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제대군인 취업지원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제대군인에게 2017년까지 일자리 5만개를 제공하고 안정적인 사회복귀를 보장하기 위한 취업지원 종합대책을 마련했다. 군내(軍內)는 물론 국방관련 취업직위, 비상대비업무 담당자를 확대한다. 군내 비전투 분야의 외주전환을 통한 제대군인 직위 및 학군단 교관, 행정관 직위 예비역 채용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방위산업체에 제대군인 의무채용비율을 적용하고 군납업체 등은 조달계약 입찰평가시 제대군인 채용률을 반영하기로 했다. 국가유공자 의무고용인원(3~8%) 과는 별도로 제대군인 채용비율이 적용된다. 또 중앙부처, 시·도(교육청), 주요 방위산업체뿐만 아니라 앞으로 시·군·구까지 비상대비업무 담당자를 확대할 예정이다.


민간기업과 사회적 일자리 확대 등을 통해 민간기업 일자리를 늘려 나갈 예정이다. 사회적 일자리에 제대군인이 우선 채용되도록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재정지원 대상 일자리에서 연금대상 제대군인을 제외시키고 있는 현행제도의 개선도 추진된다.


연금비대상 중장기복무 제대군인( 5년?0 년 미만 중기복무자, 10?0 년 미만 장기복무자는 모두 연금비대상)의 취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전직지원교육을 확대한다. 관계부처 간에 제대군인 취업정보, 인력풀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원스톱 취업지원시스템' 구축은 물론 '제대군인 취업지원 협의회(국방부, 안행부, 고용부, 보훈처, 방사청, 중기청 참여)'를 구성하기로 했다.


정홍원 총리는 "이번 대책은 나라에 헌신한 제대군인에 대한 안정적 사회복귀 뿐만 아니라 군사기 증진과 군 복무에 전념토록 하는 환경조성 등과 관계되는 중요한 사안"이라며 "취업정보 공유 및 맞춤형 취업지원 등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과 긴밀한 협업을 통한 효율적 추진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세종=정종오 기자 ikoki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