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전, '밀양 송전탑 공사 재개' 호소문 발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18일 밀양지역 송전탑 공사를 재개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은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했다. 한전이 공사 재개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힘에 따라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들과의 마찰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전은 이 날 호소문을 내놓고 "영남지역 전력 수급난을 해소하고 동계 전력수급 안정 등의 시급성을 고려해 더는 공사를 미룰 수 없다"며 "765kV 신고리~북경남 송전선로 건설 공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전은 이어 "송전선로 주변의 현실적인 보상과 지역 주민들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했음에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이 요구하고 있는 송전선로 지중화 방안에 대해서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한전은 "765kV 송전선로를 지중화하는 기술은 전 세계 어느 곳에서도 개발되지 않은 상태"라며 전압을 345kV로 낮춰 지중화하더라도 공사기간은 10년 이상, 비용은 약2조7000억원이 소요돼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또 주민들이 제시한 대로 기존 노선을 증용량 전선으로 교체하더라도 신고리 3호기를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한전은 공사가 재개되면 전력수급 안정의 시급성을 고려해 야간 공사를 해서라도 오는 12월내로 신고리 원전 3호기에서 생산된 전기를 차질 없이 내보낼 수 있도록 전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정확한 재개시점이 결정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빠르면 다음주 월요일 공사가 가능한 지역부터 우선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 한전은 공사를 재개하더라도 주민들과의 대화에 노력을 기울이기로 약속했지만 반대하는 주민 측에서는 "목숨을 걸고서라도 지키겠다"는 입장이어서 물리적인 충돌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한전은 지난 2008년 8월 울산 울주군 신고리 원전에서 생산한 전기를 경남 창녕군 북경남 변전소까지 보내기 위해 90.5km 구간에 765kV 송전탑 161기를 설치하는 공사에 착공했다. 부산 기장군, 경남 양산시와 창녕군은 공사가 마무리됐지만 밀양시 4개면에 들어설 예정인 52기 송전탑은 주민반대에 부딪혀 공사가 중단된 상황이다.




김혜민 기자 hmee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