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野 '윤창중사건' 파상공세…사과만으론 역부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5초

[아시아경제 이경호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13일 '윤창중사건'과 관련해 유감을 표명했지만 정치권, 특히 야당의 빗발치는 공세를 잠재우기는 어려운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은 당장 박 대통령의 이날 사과가 국민 앞에서 한 사과가 아닌 간접적 사과이며 '불통인사'와 청와대의 인사ㆍ위기관리 시스템개선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이 없는 반쪽짜리 사과라고 평가 절하했다.


민주당은 이번 사건의 전선을 확대하고 있다. 윤창중 전 대변인이 박 대통령의 1호 인사이고 1호 외교의 오점을 남긴 것이니 박 대통령의 사과는 물론이고 청와대 수석라인의 교체와 청와대 인사시스템의 전면개편을 주장하고 있다. 김한길 대표를 포함한 최고위원들도 이날 최고위회의에서 박 대통령이 국민에 직접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은 대통령의 오기인사가 불러온 나라 망신에 대해 국민에게 직접 사과하고, 국민이 동의할 수 있는 새로운 인사 원칙을 천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특히 '윤창중사건'이 흐지부지될 것에 대비해서는 청문회까지 요구하면서 사전 차단막을 하고 있다. 박기춘 원내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성추행 사건의 전말뿐만 아니라 국내 도피과정도 낱낱이 밝혀져야 한다"고 전제한 뒤 "그 조사를 민정수석에게 맡겨 놓을 수 없다. 국회가 나서 '윤창중 성추행 사건 및 축소 은폐의혹 진상조사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남은 임기를 생각하면 몇 명 문책 등 땜질식으로 넘어갈 일이 아니다"며 "비서실장을 비롯한 수석들이 총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윤창중사건'과 방미성과, 여기에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책임론을 분리 접근하는 모습이다. '윤창중사건'에 대해서는 명확한 진실규명과 책임자 문책은 필요하지만 이를 박 대통령의 직접적인 사과나 청와대 수석들의 문책, 인사시스템의 전면개편이라는 선까지 확대하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판단으로 보인다. 13일 열린 최고위에서도 당 지도부는 말을 아꼈다. 황우여 대표와 이한구 원내대표는 신속한 수사와 진실규명에 따른 책임자 문책을 촉구하는 선으로 발언을 마무리했다.

반면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이주영 의원과 최경환 의원은 이날 모두 방송에 나와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책임을 물어야 하며 박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의 수정도 요구했다. 당내 쇄신파인 김성태 의원은 대통령의 사과와 인사시스템 개편을 공개적으로 요구했다.


여야는 그러나 '윤창중사건'으로 국격, 국익이 크게 훼손된 상황에서 정략적인 목적으로 이용해서는 안된다는 공감대를 갖고 있다. 김한길 대표도 "추가적인 국격 훼손을 방지하는 노력에는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면서 "대통령은 신속한 결단을 통해 하루 속히 상황을 정리하고 나서 '6월 국회'에서 반드시 처리해야 할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을 챙겨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윤창중청문회'에 대해서도 민주당 한 의원은 "수사도 이뤄지지 않은 마당에 너무 앞서 나가 정치공세로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반론이 나온다. 새누리당 최경환 의원도 "청문회는 기본적으로 뭔가 일이 벌어지고 나서 매듭이 지어졌는데, 뭔가 미흡했을 때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대했다. 그는 "지금은 미국 수사 당국에서 수사를 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미 수사 당국이 성 관련된 사건을 우리를 보고 유리하게 하거나 하진 않을 것"이라며 "일단 사실관계가 확정이 되고 나서 미흡하다고 했을 때 할 얘기인데, 이것은 좀 정치공세적으로 앞서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호 기자 gungh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