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면죄부 받은 엔저, 길게 보고 대응해야

시계아이콘01분 00초 소요

일본의 공격적 양적완화 정책이 지난 주말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ㆍ중앙은행총재 회의에서 사실상 지지를 받았다. G20은 공동성명에서 "일본의 최근 정책은 디플레이션을 중단시키고 내수를 떠받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자국 통화팽창은 국내 경기부양을 위한 것이지 엔저를 목표로 한 게 아니라는 일본 정부의 주장을 거의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다.


이에 따라 엔저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 지난주 99엔대까지 오른 엔ㆍ달러 환율이 조만간 4년 만에 100엔 선 위로 올라설 것이 확실시된다. 엔화에 대한 원화의 강세도 더욱 촉진될 것 같다. 지난해 9월 이후 20% 하락해 100엔당 1100원대로 떨어진 원ㆍ엔 환율은 머지않아 1000원대로 더 내려앉을 가능성이 높다. '1달러=100엔=1000원 시대'가 현실화하는 방향으로 환율이 움직이고 있다.

이런 엔저ㆍ원고 흐름은 당장 우리나라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에 타격을 주고 있다. 중소기업도 수출에 큰 어려움을 겪지만 일본과 경합 관계인 자동차ㆍ전자 분야를 중심으로 대기업 수출에도 비상이 걸렸다. 도요타가 지난해 판매실적 세계 1위 자리를 되찾고 올해 이익을 크게 늘리는 등 일본 자동차업계는 순항하는 반면 현대ㆍ기아차를 비롯한 한국 자동차업계는 올 들어 수출이 지난해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번 엔저ㆍ원고는 앞으로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일본은 적어도 2년간은 양적완화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공언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도 양적완화를 실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는 국제 유동성의 전반적인 팽창이 초래하는 환율 급변동의 위험 속에서 엔저를 견뎌내야 하는 이중고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우리가 똑같이 양적완화로 맞대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우리나라는 기축 통화국도 아니고 내수시장도 크지 않아 양적완화의 순기능보다 역기능이 더 크기 때문이다.

정부는 환율 급변동 위험에 대응해 거시 건전성 3종세트 등 외자 유출입 관리 장치를 강화해야 한다. 필요하면 토빈세 도입도 검토해야 한다. 기업은 환리스크 헤지에 만전을 기하면서 이번 엔저ㆍ원고 위기를 원가 절감과 기술ㆍ품질 등 비가격 경쟁력 강화 기회로 역이용해야 한다. 우리에겐 이 길밖에 없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