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의 소유경영자인 서정진 회장의 보유지분 전량 해외매각 선언에 따른 충격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서 회장은 16일 기자회견을 통해 주식시장에서 투기세력이 가해오는 공매도 공격에 대항해 회사를 지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해외매각을 추진하고 자신의 경영권을 포기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17일에는 매각 주간사 회사로 JP모건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셀트리온 주가는 16일 5% 올랐다가 17일 13% 하락하는 등 급등락했다. 증시에서는 서 회장의 진의를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 관계부처와 정치권에서는 긴급히 진상 파악에 나섰다. 서 회장이 그동안 주가조작을 일삼는 공매도 세력을 조사해줄 것을 감독당국에 요청했으나 아무런 조치가 없었다고 주장한 부분에 대해서는 감독당국이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셀트리온의 소액주주들은 과도한 공매도를 방관한 감독당국을 직무유기로 고발하겠다고 경고했다. 새누리당은 이번 사태에 대한 점검을 금융위원회에 요청했다. 금융위와 한국거래소는 공매도 제도에 개선할 점이 있는지를 검토하기 시작했다.
파장이 이처럼 큰 것은 셀트리온이 갖고 있는 상징적 위상 때문이다. 셀트리온은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창업한 지 불과 10여년 만에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인정받는 회사로 성장한 벤처 성공 사례다. 2011년 코스닥에서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서 회장 자신이 회사원 출신 벤처 사업가로서 '샐러리맨 창업 신화'의 주인공이다. 셀트리온은 박근혜정부가 강조하는 '창조경제'를 대변할 만한 회사다. 이런 기업이 주로 해외 헤지펀드들로 추정되는 투기적 공매도 세력의 공격을 견디지 못해 해외매각을 선택했다는 사실이 놀라운 것이다.
정부와 감독당국은 서 회장의 주장을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다. 특히 '금융 시스템의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홀로 투기세력을 막는 데 역부족이었다'는 대목이 그렇다. 투기세력에 시달리는 기업을 보호하는 데서 증시 제도나 감독 체제에 허술한 점은 없는지 점검하고 보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서 회장의 주장과 결정을 전부 수긍하긴 어렵다. 무리한 자사주 매입으로 투기세력의 공매도 공격을 되레 자초한 면도 없지 않다. 해외매각 결정이 셀트리온의 장기적 신뢰성과 성장성에 도움이 될지도 의문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