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조금 '빙하기' 1달만에 끝나나.. 주말 번호이동 증가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변칙성 가입자 유치 기승.. '개점휴업' 방통위 다시 칼뽑을까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잠잠해졌던 이동통신업계의 과당보조금 경쟁이 당국의 제재조치 한달만에 다시 들썩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주말을 틈타 ‘반짝’ 보조금을 뿌리는 등 변칙성 가입자 끌어모으기가 다시 기승을 부리는 것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인 13~14일 일별 번호이동 건수는 2만5060건을 기록해 당국의 시장 과열 판단기준인 2만4000건을 넘겼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번호이동 집계에 따르면 주말 번호이동 건수는 3월 중순 이후 4월까지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월요일을 포함한 주말 번호이동 건수 합계는 3월18일 약 3만8900건에서 이달 15일 6만2650건으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이 기간 온라인 휴대폰커뮤니티나 공동구매 사이트에는 신규 요금제 출시에 따른 특정 통신사로의 번호이동을 조건으로 최신 기종의 할부원금을 크게 떨어뜨린 '스팟'성 판매공지(짧은 시간 구매자를 모집하고 마감)가 여러 건 올라왔다.


판매자들은 단속을 피하기 위해 할부원금을 게시하지 않거나 법정보조금 27만원만 적용된 가격을 게시하고 보조금 폭이 더 큰 실제 할부원금은 별도로 문자메시지나 쪽지를 통해 알리기도 했다. 할부원금을 ‘24.9대’나 ‘32도’ 하는 식의 은어로 표현하는 사례도 나왔다.

일부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갤럭시S3를 할부원금 11만원에 판매하는 곳이 발견됐고 온라인에서도 갤럭시노트2가 40만원대, 옵티머스G프로는 45만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또 특정 통신사의 고객센터를 가장한 010-114 등의 번호로 번호이동을 권하는 불법 텔레마케팅 사례도 크게 늘었다.


전반적으로 통신시장 상황은 올해 초 이통3사 순차적 영업정지 기간에 비하면 안정된 상태다. 그러나 LTE시장 실적쌓기를 위한 경쟁과 갤럭시S4 출시 등을 앞둔 재고 처분 등 시장 과열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고, 단속기관인 방송통신위원회가 위원장 취임이 지연되는 등 감시가 느슨해진 것도 이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방통위는 지난 5일 전체회의에서 “통신 3사 주요 간부에게 보조금 문제에 대해 위반사례가 발견되는 즉시 시장조사에 들어갈 것임을 전했다”면서 강력 대응할 것임을 밝혔다. 지난 3월에 공언한 것처럼 주도한 사업자를 가중 징계할 수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특정 업체가 가입자수 회복을 위해 새 요금제 출시와 맞물려 보조금을 투입하고 있다”면서 “주말 번호경쟁이 이들 특정 업체들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다른 관계자는 “서비스 경쟁으로 가야 한다는 데는 통신 3사의 의견이 모두 같다”면서 “다만 일선 판매점들이 자체적으로 실적 악화를 만회하려고 과열을 주도하는 사례가 있으며, 최대한 이를 단속하고 있지만 완전히 막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영식 기자 gr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