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르포]수도권 전기 42% 공급하는 韓電인천지역본부 가보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1초

한전 인천지역본부, 수도권 전력 42% 공급
인천 지역 5개 발전소 총 발전량 1300만kW
인천 600만kW 쓰고, 나머지 700만kW 수도권 북부·경기 서남부로 송전
수요 대비 송전선로 부족 탓에 수도권 북부 공급 선로 과부하 운전 중
내년 말 포천·동두천 신규 발전소 세워지면 숨통 트일 듯


[인천=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지난 11일 인천 경인 아라뱃길 전망대 인근에 위치한 아라뱃길 지하전력구. 지하 57m, 길이 2.1km의 해저터널 전력구에는 수도권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송전선로가 꼬불꼬불 설치돼 있었다. 계단을 따라 지하 15층으로 내려가는 5분 사이 온 몸이 땀에 젖을 정도로 송전선로에서 뿜어 나오는 열기는 뜨거웠다.

이곳에서 만난 한국전력공사 인천지역본부 박중길 본부장은 "인천본부는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전력 수요의 42%를 책임지고 있다"며 "수요에 비해 공급 루트인 송전선로는 턱없이 부족하다 보니 수도권 북부 공급 선로는 매일 정격용량의 90% 이상으로 과부하 운전 중"이라고 설명했다.

[르포]수도권 전기 42% 공급하는 韓電인천지역본부 가보니 길이 2.1km의 아라뱃길 지하전력구
AD


한전 인천지역본부는 서인천복합, 영흥화력 등 5개 대형 발전회사에서 생산한 전력 1300만kW 가운데 600만kW를 인천 내부에 공급하는 데 쓰고, 남은 700만kW를 수도권 북부와 경기 서남부에 송전한다. 자체 발전력의 절반 이상을 인천 이외의 지역 불을 밝히는 데 쓰고 있는 셈이다. 전국 전력 수요의 40%가 집중된 수도권을 책임지다 보니 한전의 지역본부 중에서도 어깨가 무거운 곳이다.

하지만 내년 말 포천과 동두천복합화력발전소가 준공되기 전까지는 다가오는 하계와 동계 최소 두 차례 이상 전력 보릿고개를 넘어야 하는 상황으로, 현장 직원들은 긴장감 속에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한전 송변전운영처 송전팀 김재승 팀장은 "실제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지만, 인천 지역 송전선로 고장 시 수도권 전체 전력 계통에 충격을 줘 자칫 광역 정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내년 말 수도권 북부 지역에 신규 발전소가 건설되면 정격용량의 적정 수준인 60%대로 송전선로 운전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실 인천에서 수도권 중심으로 345kV 송전선로를 추가로 만들면 전력 계통에 숨통이 트일 수는 있다. 하지만 인천지역본부 송변전사업실 박재호 실장은 "5년 전 신규 송전선로 건설을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환경단체와 지역민원 등의 이유로 무산됐다"면서 "앞으로도 수도권 인근에 송전선로를 짓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고 전했다.


수도권에 발전소나 송전선로를 추가로 짓지 못하는 상황에서 인천지역본부가 대책으로 택한 길은 고장예방 활동 강화다. 휴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불철주야 설비 관리를 하면서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24시간 전력 계통을 감시ㆍ제어하며 과학화 진단 장비를 이용한 고장예방 활동과 선로 점검을 타 지역보다 3~4배 강화 운영한다. 송전선로 고장 시 광역 정전 예방을 위한 고장파급방지장치(SPS)도 5개 운영 중이다.


다가오는 올 여름과 겨울, 전력 수급의 어려움은 수차례 예고됐다. 급증하는 수요에 비해 전기 공급력이 달리는 탓이다. 한전의 전력인(人)들이 단 한 건의 정전도 발생하지 않도록 음지에서 흘리는 땀방울이 헛되지 않도록 전기절약의 생활화가 절실해 보인다.




김혜원 기자 kimhy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