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L";$title="이재영";$txt="";$size="148,201,0";$no="201304040724512029609A_1.jpg";@include $libDir . "/image_check.php";?>[수원=이영규 기자]이재영 경기도시공사 사장(사진)의 최근 경기도의회 '중장기 사업보고' 발언이 논란이다.
이 사장은 지난 2일 '경기도 지방공기업 건전운영을 위한 특별위원회 제2차회의'에 출석해 도의회에 보고하는 과정에서 "오는 2017년까지는 대행사업만 하고, 소규모 사업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듣기에 따라서는 '안전빵'으로 가겠다는 얘기다. 공기업의 공공기능을 생각할 때 상당히 의외의 답변이다. 경기도시공사는 도내 공기업을 포함한 산하기관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도민 혈세로 출자된 자본금만 1조5992억 원에 이른다. 직원도 정원 기준 421명에 달한다. 경기도시공사는 현재 화성 동탄2신도시, 수원 광교신도시, 남양주 보금자리주택, 평택 고덕국제화신도시 및 산단 등 총 23개 지역에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대신 경기도내 주요지역에서 택지 및 산단조성과 대행사업에 적극 뛰어들었다. 공기업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 이유다. 그러나 이 사장은 앞으로 사업에 대해 대행사업과 소규모 사업에 초점을 맞추겠다고 밝혔다.
그가 이처럼 밝힌 데는 이유가 있다. 경기도시공사의 향후 당기순익 감소 등 수익성 악화가 그 원인이다. 이 사장도 이를 인정하고 있다.
그는 이날 답변에서 "올해 남양주보금자리주택(2만2000호) 토지보상비가 집중된 데다, 광교신도시 계약해지 중도금 반환 등 8300억 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해 사업수지 적자가 불가피하다"며 "2014년에는 금융부채 증가도 걱정된다"고 말했다. 도시공사의 경영상황이 녹록치 않다는 분석이다.
이 사장은 따라서 "앞으로 도시공사의 사업은 토지보상을 할 때 현금보다는 채권이나 대토보상을 확대하고, 경기도 안성산업단지나 고덕산업단지처럼 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이 미리 확정된 뒤 사업을 추진하는 이른바 '맞춤형 산업단지' 조성사업을 적극 펼치겠다"고 말했다.
또 "주택사업은 사업방식을 최대한 다각화하고, 월별 진행하고 있는 공사 간부회의는 계량실적회의로 대체해 보다 내실있는 경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사장의 이번 발언과 관련, 공공기관이 수익에만 치중하고 '공공성'을 등한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도의회 권칠승 의원(민주통합당ㆍ화성3)은 "(사장 말씀대로라면 도시공사는)2017년까지는 대행사업과 소규모사업 위주로 한다고 하는데, (공공기관은)공공성 있는 사업을 해야 한다"며 일침을 가했다.
이해문 의원(새누리당ㆍ과천)은 "경기도시공사와 향후 경쟁관계에 있는 31개 시군의 도시공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데 이에 대한 연구가 전혀 안되고 있다"며 "향후 상호 경쟁에 의한 부실우려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현재 경기도에는 김포, 양평, 광주, 하남, 용인, 화성, 평택 등 모두 7곳에 도시공사가 설립 운영되고 있다. 남양주 등 일부 지역은 시설관리공단과 도시공사가 융합된 형태며 성남, 구리, 오산 등은 도시공사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