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경기도 '해양쓰레기' 34%만 수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수원=이영규 기자]경기도 연안에 버려진 해양 쓰레기의 34%만이 수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들 해양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육상쓰레기의 무려 5배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해양쓰레기 관리조직을 별도로 구성해 해양쓰레기 회수ㆍ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육상폐기물 처리 시스템과 연계해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정임 선임연구위원은 1일 '경기도 연안의 해양쓰레기 관리방안'을 통해 해양레저 활성화 등으로 경기지역 연안지역의 쓰레기 투기량이 급증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우선 "해양쓰레기는 선박사고, 생태계 악영향 등을 유발하지만 회수율은 34%에 그치고 있다"며 "안정적인 해양쓰레기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특히 "해양쓰레기 처리 비용은 육상쓰레기에 비해 5배 이상 비용이 더 들어간다"며 "쓰레기가 발생된 후 처리하기보다 다양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해양으로의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는 관리정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대안으로 '해양쓰레기의 성상별 수거ㆍ처리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생활폐기물과 성상이 유사한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해 민간 위탁업체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는 게 이 선임연구위원의 생각이다.


또 어구ㆍ어망 등은 자치단체에서 사업비를 책정해 전문 수거업체를 통한 수거하는 방안을 내놨다. 아울러 해양쓰레기의 66%가 생활쓰레기인 점을 감안해 생활폐기물과의 통합 수거ㆍ처리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현재 해양쓰레기는 공공근로 인력을 활용하거나 수거요청 시 회수 후 민간위탁으로 처리하는 상황이다.


그는 이외에도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화성ㆍ안산ㆍ시흥ㆍ김포ㆍ평택시의 주요 해안선과 해수욕장, 섬 등을 중심으로 해안가 쓰레기 수거사업과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정부, 지자체, NGO, 기업, 학교가 연계한 협동조합 형태의 해양쓰레기 관리 플랫폼 조직이 필요하다"며 "특히 해안가 주변의 시민, NGO, 기업 등은 해안가 책임제 등을 통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회수 체계를 구축하고 관련 활동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영규 기자 fortun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