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투자를 강조하며 기업들을 도울 방법을 찾겠다고 말해 관심을 끈다. 중소기업의 자금을 간접 지원하는 총액한도대출 한도를 늘릴 수 있다는 의미로도 읽힌다.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보조를 맞추겠다는 얘기다. 올해 1분기 한은의 총액한도대출 한도는 9조원이다. 시장의 수요를 맞추기엔 충분치 않은 규모다.
김 총재는 15일 소공동 한은 본점에서 열린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간담회에 참석해 "국제 금융시장은 안정됐지만 그렇다고 경제가 잘 되고 있는 것인지는 좀 더 들여다봐야 한다"면서 "그리스 등 남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불안감은 사라졌어도 실물경제가 안정된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총재는 그러면서 "한 때는 금융이 안정되느냐가 관심사였지만, 지금은 특정 국가만 보는 게 아니라 전반적으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움직이느냐를 봐야 한다"면서 "결국엔 실물경제를 봐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투자가 잘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총재는 이어 간담회에 참석한 중소기업 CEO들에게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총액한도대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무에서 유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업들을 위해 중앙은행이 도울 일이 있는지 실물경제 이야기를 들으려 한다"고 청했다.
김 총재의 발언은 이달 말 금통위의 총액 한도 결정을 앞두고 나와 더욱 눈길을 끈다. 총액한도대출 제도는 한은이 유동성 조절을 위해 쓰는 수단이다. 분기별로 풀 돈의 총액을 정해 은행별 차입 한도를 정해준다. 은행의 상업어음할인 내역 등 기업금융 실적을 고려해 나눠줄 몫을 결정한다.
이렇게 풀리는 돈의 총액은 자금 흐름과 중소기업 및 지역 금융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3개월에 한 번씩 정한다. 자금이 잘 돌지 않을 때 이 제도를 통해 시중에 돈을 풀면, 은행은 한은에서 시중보다 낮은금리로 자금을 차입할 수 있다. 이걸 다시 중소기업에 빌려주면 이른바 '돈맥경화'를 푸는 응급처방이 된다.
김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 동결 배경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그는 하루 전 기준금리를 5개월 연속 2.75%로 동결한 일을 두고 "한 나라의 결정이 다른 나라에 영향을 미치게 돼 있기 때문에 특정 국가만 특이하게 할 수 없다"면서 "어제 스위스, 노르웨이, 뉴질랜드, 필리핀, 칠레 등 여러나라가 금리를 동결했다"고 환기했다.
박연미 기자 change@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