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취업자 100명 중 77명이 전공과 무관하게 첫 직장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고교나 대학 전공과 다른 분야에 취업한 청년 취업자 비율이 2001년 이전 평균 72.8%에서 2010~2011년에는 77.1%로 높아졌다. 학생들이 적성보다 점수에 맞춰 고교나 대학에 진학하는 데다 이들 학교 졸업자들이 원하는 괜찮은 일자리가 줄고 있기 때문이다.
젊은이들이 적성이나 전공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자 상용직보다는 임시직 등 비정규직 취업이 늘어났다. 학력이나 자신이 희망하던 수준보다 낮춰 취업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나마 청년층 고용률은 지난해 40.4%로 전체 평균 고용률(59.4%)에 한참 못 미친다. 박근혜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약속한 고용률 70% 달성과는 거리가 더 멀다.
젊은층의 전공ㆍ취업 불일치 비율 상승은 갈수록 악화되는 청년실업 문제와 궤를 같이 한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사회의 고질병인 학력 인플레이션을 다스리는 데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고교 졸업자에 대한 차별 해소가 관건이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나서야 한다. 고졸 직원이 급여나 승진ㆍ복지 체계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고졸자가 처리해도 지장이 없는 직무를 골라 고졸 채용을 늘려야 한다. 한국생산성본부가 국민연금공단ㆍ한국남동발전 등 6개 시범기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고졸자가 처리해도 무난한 직무가 2000개를 넘었다. 전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파악하면 훨씬 많을 것이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앞장서면 일부 금융회사와 기업에서 일기 시작한 고졸자 채용 바람이 한층 확산될 것이다.
각급 학교의 진로지도 또한 달라져야 한다. 적성에 관계없이 성적에 맞춰 상급학교를 선택하도록 강요하는 그릇된 행태를 벗어나야 한다. 중ㆍ고교 과정부터 보다 실질적인 진로ㆍ직업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기업맞춤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출범해 올해 첫 졸업생을 배출한 마이스터고의 안착이 이를 보여준다. 대학도 산학협력을 구호로만 강조해선 안 된다. 중ㆍ장기적인 산업의 변화 추세와 취업 현실을 반영해 학과와 교과과정에 대한 대수술을 단행해야 할 것이다. 학생 수에 비해 많은 대학의 구조조정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